지난해 임금체불 사상 최대, 30만명 고통 "사장님 나빠요"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지난해 임금체불 사상 최대지난해 임금체불 사상 최대, 30만명 고통 "사장님 나빠요"지난해 임금체불 사상 최대 30만명에 달했다.27일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지난해 체불임금이 발생한 근로자의 수는 29만5677명으로 전년보다 3119명(1.1%) 늘었다.2011년 27만8000여명이었던 임금체불 근로자 수는 2012년 28만4천여명으로 늘었다가 2013년 26만6천여명으로 줄어드는 듯했다. 하지만 2014년과 지난해 2년 연속 증가세를 나타내 30만명에 육박했다.임금체불 총액도 2011년 1조874억원에서 지난해에는 1조2993억원으로 4년 새 19.5%나 늘었다.업종별로는 제조업의 임금체불 근로자 수와 임금체불액이 각각 7만8530명과 4천749억원에 달해 가장 많았다. 건설업(6만5573명·2487억원), 도소매·음식숙박업(6만140명·1740억원), 금융보험부동산·사업서비스업(3만1814명·1285억원), 운수창고·통신업(1만8495명·1077억원) 등이 뒤를 이었다.특히 제조업과 도소매·음식숙박업의 경우 최근 수년 새 가파른 증가세를 보였다. `차이나 리스크`와 유가 폭락 등으로 조선, 철강, 기계, 자동차 등이 수년째 침체를 겪는 제조업의 경우 2011년 6만390명이던 임금체불 근로자 수가 지난해 7만8천530명으로 30%나 늘었다.같은 기간 제조업 임금체불액의 증가율은 더 높았다. 2천972억원에서 4천749억원으로 무려 59.8% 급증했다.도소매·음식숙박업의 상황은 더 심각하다. 장기 내수침체로 자영업자의 몰락이 현실화 되고 있다.2011년 2만4262명이었던 임금체불 근로자 수는 지난해 6만140명으로 급증했다. 같은 기간 임금체불액도 836억원에서 1740억원으로 껑충 뛰어올랐다.정지원 고용부 근로정책기준관은 "설을 앞두고 임금 체불을 막기 위해 비상근무체계에 들어가는 등 행정력을 집중하겠다"며 "근로자의 생계를 어렵게 만드는 고의·상습 체불 사업주는 `무관용 원칙`을 적용해 구속수사 등 엄정 조치하겠다"고 말했다.지난해 임금체불 사상 최대, 30만명 고통 "사장님 나빠요"정보뉴스팀한국경제TV 핫뉴스ㆍ[올림픽축구] 이라크 꺾은 일본, 카타르 누른 한국과 맞붙는다ㆍ박기량, 치어리더 되기 전 조폭이었다?…속내 들어보니ㆍ서울대 출신이 개발한 "하루 30분 영어" 화제!ㆍ[올림픽축구] 한국VS이라크, 황희찬 `마법의 15분` 장면보니…ㆍ 치주염, 구취 방치했더니 세균이 몸속 깊은 곳 까지?ⓒ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