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의 서민 주거안정과 관련한 업무보고 중 가장 새로운 것은 도심 내 빈집을 임대주택으로 활용하는 ‘빈집 특별법 제정’이라고 전문가들은 설명했다. 2010년 기준으로 45만6000가구에 달하는 도심 속 빈집 가운데 안전 문제가 있는 집을 파악한 뒤 철거·수선이 이뤄지지 않으면 정부가 수용해 임대주택·공공시설로 활용할 수 있도록 연말께 법적 근거를 마련하는 것이다. 김재정 국토부 주택정책관은 “저출산, 고령화로 방치된 빈집이 늘어난 일본에서 지난해 ‘빈집 특별법’을 제정한 것을 참고했다”고 설명했다.
대학생, 사회 초년생, 신혼부부 등을 대상으로 짓는 공공임대주택인 행복주택의 입주 물량도 대폭 확대한다. 지난해 서울 4개 단지, 847가구에 그쳤지만 올해는 전국 23개 단지, 1만824가구를 짓는다.
건강관리, 식사·목욕 지원 등 노인복지 서비스를 결합한 공공실버주택도 늘린다. 서울 강남 생활권인 위례신도시 등에서 당초 계획(8개동·650가구)보다 늘어난 총 11개동 900가구를 공급할 예정이다.
ADVERTISEMENT
임대주택 공급 방식도 다양화한다. 정부가 노후주택을 재건축해주는 ‘집주인 리모델링 임대사업’을 활용해 400가구를 공급한다. 비영리단체·사회적 기업이 운영하는 ‘사회적 임대주택 시범사업’(500가구)을 시작하고 낙후지역에 임대주택과 인프라를 함께 건설·정비하는 ‘마을정비형 공공임대주택 사업’(1200가구)도 추진한다.
국토부는 소득이 중위소득의 43% 이하인 가구가 받는 주거급여는 월평균 지원액이 11만3000원이 되도록 기준 임대료를 2.4% 올려 총 81만가구를 지원할 예정이다. 또 서민 주거안정을 위해 전세자금을 빌려주는 주택도시기금 버팀목대출에 ‘전세금 반환보증’을 도입한다.
카자흐스탄에서 약 2,000만톤 규모의 희토류 금속 매장지가 발견됐다. 2일(현지시간) 로이터에 따르면, 카자흐스탄 지질학자들은 자나 카자흐스탄 매장지에서 네오디윰, 세륨, 란타넘,이트륨 등 약 2,000만톤 이상의 희토류 금속 매장지를 발견했다고 카자흐스탄 산업건설부가 이 날 성명을 통해 발표했다 로이터에 따르면, 이 같은 매장량이 확인되면 매장량 규모에서 중국과 브라질에 이어 세계 3위 규모가 된다. 카자흐스탄은 현재 미국 지질 조사국의 희토류 금속 매장량 국가 목록에 포함되지 않는다. 카자흐스탄 산업건설부는 텔레그램을 통해 발표한 성명에서 매장지가 발견된 곳은 카자흐스탄 수도 알마티에서 420km 떨어진 자나 카자흐스탄 매장지라고 언급했다. 매장지에서는 네오디, 세륨, 란타넘, 이트륨이 매장돼있는 것이 확인됐고, 평균 희토류 금속의 함량은 톤당 700그램이라고 밝혔다. 네오디윰은 전기차 배터리, 풍력터빈, 스피커, 헤드폰등에 쓰이며 세륨은 자동차 배기가스 정화시스템 등의 촉매제 및 세라믹 광택제 등으로 사용된다. 란타넘은 카메라 렌즈와 망원경 렌즈 등 고급 유리 제조와 배터리 및 수소저장 시스템에도 활용된다. 이트륨은 레이저, LED, 고온초전도체와 금속의 강도를 높이는 합금 첨가제로도 사용된다. 어떤 회사가 해당 사이트를 개발할지, 언제 개발할지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았다. 김정아 객원기자 kja@hankyung.com
바이트댄스와 알리바바 그룹, 텐센트 홀딩스 등 중국 기술기업들이 올해 1분기에 엔비디아의 H20 서버칩을 160억달러(23조 3,900억원) 가까이 대량 주문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이들 회사가 AI 개발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음을 보여준다. 2일(현지시간) 로이터가 정보산업전문매체 더인포메이션을 인용 보도한데 따르면, 이들 중국 기술기업은 1분기에 엔비디아에 최소 160억달러에 달하는 H20칩을 주문했다고 거래에 대한 직접적 지식을 가진 두 소식통이 밝혔다. H20은 미국의 수출 통제로 엔비디아가 중국에 합법적으로 판매할 수 있는 가장 진보된 AI프로세서다. 저비용 AI모델을 출시해 돌풍을 일으킨 중국의 스타트업 딥시크는 AI모델을 개발하는데 H20만을 사용했다고 주장해왔다. 로이터는 이후 중국내에서 H20에 대한 주문이 급증했다고 보도했다. H20은 엔비디아가 중국용으로 판매하기 위해 만든 주요 칩으로, 2023년 10월에 발효된 미국 수출 제한 이후 출시됐다. 한편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월에 반도체와 관련 제품 수입에 약 25%의 관세를 부과할 계획이라고 밝혔었다. 엔비디아의 CEO 젠슨 황은 관세가 단기적으로는 영향이 크지 않을 것으로 보이지만 장기적으로는 생산을 미국으로 옮길 것이라고 말했다. 김정아 객원기자 kja@hankyung.com
트럼프의 상호관세 발표가 예정된 2일(현지시간) 미국 증시는 하락으로 출발했다.개장 직후 1% 하락으로 출발한 S&P500은 동부 표준시로 오전 10시 5분에 0.3% 하락으로 낙폭을 줄였다. 나스닥 종합은 1.5% 하락 출발했으나 0.3%로 하락폭을 줄였다. 다우존스 산업평균은 0.2% 내렸다. 월가의 공포지수로 불리는 Cboe 변동성 지수(VIX)는 23을 돌파하여 트레이더들의 우려가 커지고 있음을 나타내는 20 수준을 넘어섰다. 안전자산 선호 현상으로 채권과 금 가격이 또다시 올랐다. 10년만기 미국채 금리는 2베이시스포인트(1bp=0.01%) 하락한 4.133%를 기록해 올해 최저수준에 도달했다. 채권 금리와 채권가격은 반대로 움직인다. 금주 들어 연일 최고가를 경신중인 금 현물은 이날 뉴욕상업거래소에서 트로이 온스당 3,170달러로 전날보다 0.7% 오르면서 또 다시 사상최고치를 경신했다. 테슬라(TSLA)가 월가 컨센서스를 밑도는 1분기 차량 인도대수 336,681대를 발표하면서 3.1% 하락한 260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리비안 자동차(RIVN) 는 1분기에 월가가 추정한 것과 일치한 8,640대의 차량을 인도했다고 발표한 후 3.6% 하락했다. 이는 전년 대비 36% 감소한 것이다. 대만과 한국에서 그래픽처리장치(GPU)용 칩을 수입하는 엔비디아(NVDA)도 개장 초반 0.9% 하락한 109달러로 하락을 이어갔다. 이 날 트럼프 대통령이 반도체에 대한 관세를 포함할 지는 불분명하다. 보수 성향의 미디어 회사로 이번주 월요일에 뉴욕증시에 상장된 뉴스맥스(NMAX)는 첫 날 735% 급등하고 1일 179% 상승했으나 이 날 17% 하락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현지시간으로 오후 4시(한국시간으로 3일 새벽 5시) 백악관에서 미국의 모든 무역파트너를 대상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