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결합한 패션업계 '웨어러블' 선보여…주춤한 아웃도어 '라이프스타일' 접목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2016 유통시장 전망
패션
패션

주요 업체들은 한국 스타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한류 열풍을 발판 삼아 적극적인 해외 진출을 모색하고 있다. 삼성물산 패션부문은 올해 SPA 브랜드인 에잇세컨즈를 중국에 진출시키는 한편 알리바바와의 협약을 통해 온라인 판매 사업에도 나선다. 중국에서 7000여개 의류매장을 운영하고 있는 이랜드그룹은 올해부터 현지에서 복합쇼핑몰 사업에도 진출, 다양한 국내 패션 브랜드를 중화권에 유통할 계획이다.

ADVERTISEMENT

삼성패션연구소는 최근 내놓은 2016년 패션시장 전망에서 ‘프레시 리로딩’(신선한 변화를 담은 새로 고침)이라는 단어를 새해의 화두로 정했다. 저성장 기조가 이어지면서 성과를 위한 정책이 아니라 새로운 소비 흐름에 맞춘 체질 개선이 필요하다는 분석이다. 연구소 측은 “유행에 따르지 않고 자신만의 취향에 집중하는 소비자가 늘고 있다”며 “대량생산, 대량판매 시대의 종말이라고 칭할 정도로 실용보다 취향을 만족시켜주는 것이 중요해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패션 스타일은 다채로운 무늬, 장인정신, 복고, 가성비(가격 대비 성능) 추구 등이 두드러질 전망이다. 나인경 삼성패션연구소 책임연구원은 “더 이상 브랜드가 소비 기준이 되지 못하고 있다”며 “남들이 주목하지 않았던 취향에서 새로운 비즈니스를 발굴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임현우 기자 tardis@hankyung.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