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정부의 가계부채 대책에도 불구하고 가계부채 증가속도가 도무지 꺾일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



은행권 가계대출이 지난 한 달 동안 8조원 가까이 늘면서, 우리 경제에 걱정거리를 더하고 있습니다.



김민수 기자입니다.



<기자>

8월 말 현재 은행권의 가계대출 잔액은 609조6천억원. 지난 한 달 새 7조8천억원이 늘었습니다.



올해 4월과 6월에 이어 역대 3번째로 큰 규모입니다.



정부가 가계부채 대책까지 내놨지만, 대부분을 차지하는 은행 가계대출이 오히려 지난달 보다 증가했습니다.





문제는 빠른 속도로 늘고 있는 가계부채가 재기를 노리는 우리 경제의 발목을 잡을 수 있다는 점입니다.





최근 9개 시중은행 주택담보대출 고객들의 대출 목적을 조사했더니, 주택을 구입을 위한 것이란 대답은 34%에 그쳤습니다.



오히려 기존 대출금 상환과 생계자금 때문이라는 답이 42%였습니다. 빚을 갚기 위해 또 생활비가 없어 빚을 낸다는 얘기입니다.





시시각각 다가오는 금리 인상 역시 막대한 가계부채가 우려되는 이유입니다.



주택담보대출 이용자의 76%는 변동금리를 선택하고 있습니다. 금리가 올라가면 이자부담이 커지고 그만큼 소비는 줄 수 밖에 없습니다.





<인터뷰> 이근태 LG경제연구원 박사

"최근 가계부채가 워낙 빠르게 늘어나고 있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소비나 경제 성장에 부담을 줄 수 있다. 또 지금처럼 세계경제가 불안한 상황에서는 가계부채 지표가 우리나라의 건전성을 판단하는데 부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정부가 부채의 질을 관리하는 단기처방에서 벗어나 이제는 부채 총량을 줄이기 위한 근본적인 대책을 내놓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한국경제TV 김민수입니다.


김민수기자 mskim@wowtv.co.kr
한국경제TV 핫뉴스
ㆍ[화제의 동영상] 갤럭시S6 vs 아이폰6 충격실험‥"아이폰 겨우 이정도야?"
ㆍ김현중 전 여자 친구 최 모 씨, 9월초 이미 출산...“현재 친자확인 절차 준비 중”
ㆍ"홍진영" SNS에 공개!! 하루종일 먹어도 "이것"이면 몸매 걱정 끝?!
ㆍ유재석 유희열 콤비 다시 뭉친다…‘슈가맨’ 10월 정규편성
ㆍ‘라디오스타’ 오정연, 서장훈부터 누드비치까지 ‘전직 아나운서의 독한 토크’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