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발업체 삼덕통상 등이 입주한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 내 부산신발산업집적화단지. 부산시 제공
신발업체 삼덕통상 등이 입주한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 내 부산신발산업집적화단지. 부산시 제공
부산시가 지난 22일 감사원으로부터 신발산업단지 입주제한제도를 개선해 투자 활성화에 기여했다는 평가와 함께 규제개혁 모범사례로 뽑혔다. 신발산업이 공해유발 업종이라는 인식 때문에 공단 입주 자체가 불가능한 것을 바꾼 사람은 부산시 공무원들이었다. 이들의 끈질긴 노력으로 규제를 개선해 전국 최초의 첨단 신발단지를 조성할 수 있었다. ‘신발왕국 부산’의 명예를 되찾는 발판을 마련하고 2000여개의 일자리 창출도 예상된다.

부산시가 신발산업 도약의 획기적 발판을 마련한 것은 기간산업담당관실이 신발산업 육성지원 업무를 맡은 2012년 6월부터다. 한국신발산업협회로부터 기존 신발공장이 밀집한 사상구, 사하구를 벗어나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 내 부산신항배후 국제산업물류도시(1단계) 일반산업단지 일부를 신발제조 기업에 공급해 달라는 내용의 협조 요청을 받은 게 계기였다.

'신발왕국 부산' 부활 시동…일자리 2000개 생겼다
당시 ‘경제자유구역의 지정 및 운영에 관한 특별법’에 따르면 신발산업은 공해유발 업종에 해당돼 경제자유구역 입주가 제한됐다. 부산시는 신발산업을 담당한 박수희, 전상훈, 이상순 주무관을 앞세워 신발산업이 첨단산업이라는 인식 아래 제도 변경에 나섰다. 신발산업이 고용창출 효과가 큰 데다 제조 환경이 조립 위주로 바뀌어 공장이 깨끗하다는 점을 부각했다. 2012년 7월부터 2013년 6월까지 산업단지 관리기본계획 변경권자인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청, 산업통상자원부 등과 15회에 걸친 회의를 열어 부정적인 인식을 바꾸는 데 힘을 쏟았다.

부산시도 2012년 12월부터 2013년 3월까지 현장을 실사하고 제품 생산 전 공정을 확인하는 등 환경 유해업종 해당 여부를 집중 검증해 유해물질과 처리장치가 양호하다는 것을 확인했다. 자신감을 얻은 부산시는 제품과 원·부자재에서 생기는 유해물질을 확인하기 위해 시료를 테스트하고 국내외 공인시험서를 조사해 유해물질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점도 증명했다.

이 같은 노력이 결실을 거뒀다. 2013년 6월 관련기관 심의위원회를 거쳐 같은 해 8월 신발업종이 경제자유구역 입주 업종으로 허용됐다. 부산시는 바로 2120억원을 들여 면적 8만1860㎡ 규모로 중국과 개성공단에서 복귀하는 ‘U턴 기업’ 9곳을 입주시키기로 했다. 1930여명의 고용창출 효과도 기대된다.

김기영 부산시 일자리산업실장은 23일 “신발집적화단지는 미국·유럽 신발 바이어의 신발 생산 요청 증가와 신발산업 첨단화에 적극 대처할 수 있어 경제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에 큰 활력소가 될 것”이라며 “고부가가치 신발을 생산해 부산 신발산업을 글로벌 수준으로 성장시켜 나가겠다”고 말했다.

부산=김태현 기자 hy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