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볼라 구호대 1진 최영미 시화병원 응급의학과장 "의사이기 때문에 재난 현장에 달려갑니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나누는 삶
시에라리온서 에볼라 주삿바늘 사고
"의사 생활 13년만에 처음 겪는 일…할일 못해 더 안타까웠다"
동남아·아프리카 종횡무진 봉사…"남매에 자랑스러운 엄마 되고파"
시에라리온서 에볼라 주삿바늘 사고
"의사 생활 13년만에 처음 겪는 일…할일 못해 더 안타까웠다"
동남아·아프리카 종횡무진 봉사…"남매에 자랑스러운 엄마 되고파"

지난해 12월 에볼라 바이러스 한국 구호대 1진으로 서아프리카 시에라리온에 파견됐고, 지난달 초엔 서울다일교회(목사 최일도)가 이끄는 다일공동체 의료팀 소속으로 네팔 대지진 피해 현장에 다녀온 최영미 시화병원 응급의학과장(45·사진). 최근 경기 시흥 시화병원 응급실에서 만난 그는 “모든 의사가 같은 마음일 것”이라며 이같이 강조했다. 또 그는 “요즘엔 중동호흡기증후군(MERS·메르스) 사태 때문에 환자 진료시 위생관리와 체온 검사 등 세세한 부분에 평소보다 훨씬 신경을 많이 쓰고 있다”고 했다.
ADVERTISEMENT
2013년 12월 의료봉사를 하러 라오스에 간 이후부터 해외 의료봉사 활동에 적극 나섰다. 그는 “현지의 열악한 환경을 마주하고는 ‘나를 필요로 하는 곳이 있다면 언제든 달려가겠다’고 마음먹었다”고 말했다. 지난해 4월 세월호 사건 발생 후 2박3일간 진도 팽목항에서 잠수부 의료 지원을 했고, 지난해 10월엔 필리핀 자원봉사를 다녀왔다. 그후 에볼라 바이러스 구호대 1진으로 시에라리온에 들어갔다.
“한번 결정하면 망설이는 성격이 아닙니다. 시에라리온에 갈 때도 딱 닷새만 고민했을 뿐이에요.”
ADVERTISEMENT
최 과장이 현재 근무 중인 시화병원 응급실도 언제나 바쁜 공간이다. 외국인 근로자가 많은 시화공단과 반월공단이 인접해 있고, 대부도와 제부도 등 관광지가 가까이 있어 평일 밤과 주말엔 늘 비상대기 상태다. 그는 “외국인 근로자들이 일을 하다 골절상과 피부 손상, 화상 등을 입어 응급실에 오는 경우가 꽤 있다”며 “최근엔 병원에 통역 안내데스크가 생겨 의사소통 문제가 많이 해결됐다”고 말했다.
최 과장은 열두 살 딸과 열 살 아들을 둔 워킹맘이기도 하다. 그는 “아이들이 아주 어렸을 땐 엄마와 떨어지는 걸 많이 힘들어 했는데 요즘은 남편과 더불어 가장 든든한 응원군이 됐다”며 “남매에게 자랑스러운 의사 엄마가 되고 싶다”고 했다.
이미아 기자 mia@hankyung.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