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혁신을 위한 벤처·창업 토론회가 29일 오후 서울 광화문 올레스퀘어에서 열렸다. 벤처기업협회 여성벤처협회 벤처캐피탈협회 엔젤투자협회 등 벤처관련 4개 협회가 주최했다. 정부의 ‘벤처·창업 자금생태계 선순환 방안’이 나온지 2년을 맞아 그간 성과를 민간 차원에서 점검하고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 자리였다.

주제발표에 나선 김세종 중소기업연구원장은 “벤처 인증기업 숫자가 올 들어 3만개를 넘어섰고 매출 1000억원을 넘긴 벤처기업도 453개에 달해 양적인 성장을 했지만 질적 성장 면에선 여전히 미흡하다”고 지적했다. 벤처의 자생력을 높이고 우수 인력을 끌어들이는 게 시급하다는 설명이다. 또 대기업과 벤처기업간 임금 격차를 줄이는 것도 중요하다고 했다.

이민화 KAIST 교수는 질적 성장을 위한 방안으로 ‘사내 벤처 활성화’를 주장했다. 이 교수는 “창업이 활성화 된 미국에서도 대학 창업은 10% 미만이고 기업 창업 비중이 90%가 넘는다”며 “중견기업과 대기업 내 혁신 인재들이 사내에서 창업할 수 있도록 정부의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했다.

이 교수는 또 “사업하다 실패하면 신용불량자가 되는 지금같은 구조에선 창업을 권하기 어렵다”며 “국가 기관인 기술보증기금은 연대보증을 전면 폐지하고 이 때문에 손실이 나는 부분을 정부가 보전해준다면 창업 활성화로 인해 국가 경제에도 훨씬 도움이 될 것”이라고 했다.

정준 벤처기업협회장은 “중소기업 정책이 어려운 회사를 돕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면 창업·벤처 정책은 성장을 뒷받침하는 것이 되어야 한다”며 “중소기업 정책과 벤처 정책을 분리해서 봤으면 한다”고 말했다.

안재광 기자 ahnj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