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이 성완종 전 경남기업 회장의 일정이 기록된 다이어리 수첩 34개를 확보하는 등 성 전 회장의 정치권 금품 제공 의혹을 규명하는 데 속도를 내고 있다. 검찰은 주말에도 압수물 분석과 계좌 추적에 집중한다는 방침이어서 이르면 내주부터는 ‘성완종 리스트’ 관련자 소환이 잇따를 것으로 예상된다.

검찰 특별수사팀(팀장 문무일 검사장)은 17일 기자들과 만나 “압수수색을 통해 확보한 자료는 모두 어제 검토를 마쳤다”고 말했다. 검찰은 지난 15일 경남기업 본사 및 관계사, 성 전 회장 측근 인사 등 11명의 주거지를 압수수색해 휴대폰 21개, 디지털 증거 53개, 수첩 34개, 회계자료 257개, 기타 파일철 16개를 확보했다고 밝혔다.

檢 '성완종 정치후원금' 받은 與野의원 명단 확보

대검 과학수사 지원부서인 디지털포렌식센터는 컴퓨터 하드디스크와 휴대폰에 담긴 디지털 정보 중 성 전 회장의 금품 제공 의혹과 관련 있는 상당량의 내용이 삭제된 흔적을 발견하고 이날 복원을 대부분 마친 것으로 전해졌다.

복원분 중에는 성 전 회장과 경남기업 측이 2013년에 정치 후원금을 낸 국회의원 명단도 들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별수사팀은 이날 복원한 자료를 차례로 넘겨받아 기존 압수품 분석 결과와 대조하며 금품 거래 정황을 뒷받침할 유력한 수사 단서를 확보 중이다. 구본선 부팀장은 “현 단계는 자료 수집 단계”라며 “원칙적으로 소환조사는 자료 조사가 끝난 다음에 이뤄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수사팀은 그러나 수사 속도를 높이기 위해 디지털포렌식센터 복원 결과가 나오는 대로 사건 관련자를 수시로 소환한다는 방침이다. 소환 대상과 관련해서는 “성완종 리스트에 없는 인물도 수사가 가능하다. 어디까지 가겠다는 제한 등이 없다”고 말했다. 야당 인사도 수사 대상에 올라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성 전 회장이 홍준표 경남지사에게 줄 금품을 맡겼다는 전 경남기업 부사장 윤모씨와 성 전 회장의 수행비서 이모씨, 주요 측근으로 분류되는 박모 경남기업 홍보상무 등이 우선 소환 대상으로 거론된다. 수사팀은 주말에도 모두 출근해 압수물 분석과 소환 준비에 주력하기로 했다.

홍준표 경남지사 소환 계획과 관련, 구 부팀장은 “소환을 통보한 바 없다”며 “수사는 한 칸 채워야 다음 칸으로 갈 수 있는데 중대한 핵심 증거가 현존하지 않기 때문에 한 칸 채우는 게 어렵다”고 설명했다. 성 전 회장이 여야 유력 정치인 14명에게 불법자금을 제공한 내역이 담긴 로비 장부를 검찰이 확보했다는 언론보도에는 “수사팀이 알지 못하는 자료”라고 덧붙였다.

배석준 기자 euliu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