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서 40분 긴급 회동…'성완종 파문'에 손 내밀어
'애증' 교차해도 정치적 공동운명체 재확인 장면 분석


이른바 '성완종 파문'이 일파만파 확산하는 가운데 박근혜 대통령이 16일 오후 청와대에서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와 '독대' 형식으로 40분간 긴급 회동했다.

박 대통령과 여당 대표와의 단독회동은 박 대통령 취임 이후 사실상 처음 있는, 아주 이례적인 일이다.

박 대통령과 김 대표와의 관계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장면이라는 해석이 뒤따랐다.

박 대통령은 취임 후 지난 2년 2개월간 새누리당 또는 여야 지도부와 총 9차례 회동했지만 사전에 실무조율을 거쳤고, 회동 모습을 언론에 일부 공개할 정도로 '투명'하게 진행해왔다.

박 대통령은 김 대표가 새누리당 대표로 선출된 뒤인 작년 7월 15일 새누리당 지도부를 청와대로 초청했을 때 김 대표와 별도로 만나긴 했지만 고작 '5분'에 불과했다.

깊은 얘기를 주고받기엔 턱없이 부족한 시간으로 '독대'라는 정치적 의미를 부여하기도 충분치 않았던 게 사실이다.

하지만 '성완종 리스트'가 정국을 강타하고 있는 상황에서 박 대통령의 중남미 순방을 앞두고 이뤄진 이날 단독회동은 여러 면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더욱이 이날 회동은 예정에 없었으나 긴급하게 잡힌 것으로 알려졌다.

박 대통령은 당초 이날 낮 진도 팽목항을 방문한 뒤 광주공항을 통해 중남미 4개국 방문을 위해 곧바로 출국할 예정이었으나 일정을 급히 수정, 김 대표를 청와대로 불러들였다.

이 때문에 출국 시간도 예정보다 두 시간이나 늦췄다.

새누리당 주변에서는 '성완종 리스트' 파문의 파장이 가라앉기는 커녕 점점 더 커져가자 박 대통령이 집권여당 대표인 김 대표에게 손을 내민 것이라는 분석이 제기됐다.

'성완종 리스트'에 국정 2인자인 이완구 총리와 전현직 청와대 비서실장 3명이 언급되는 등 정권 핵심실세들이 줄줄이 연루됐다는 의혹을 받고 있어 결국 의지할 대상은 김 대표 뿐이라고 박 대통령이 판단했을 것이라는 해석이다.

지금까지는 통상적으로 대통령이 외국 순방에 나갈 때면 내각을 통할하는 총리를 불러서 여러 국정운영에 대해 당부해왔기 때문이다.

박 대통령이 김 대표를 급히 찾은 것만으로도 김 대표에 대한 신뢰를 보여주는 것이지만 무엇보다도 배석자 없이 40분간 만났다는 점은 정치적 함의가 적지 않다.

단 두 사람만이 대좌했다는 것은 그 만큼 친밀도를 보여주는 것이다.

지금까지 박 대통령과 김 대표의 관계는 때때로 냉랭한 것으로 비쳐지기도 했지만 이날 회동을 계기로 두 사람이 정치적 운명공동체임이 다시 확인된 셈이라는 분석도 나왔다.

김 대표는 최근 현직 총리와 현직 청와대 비서실장의 이름이 거론된 '성완종 리스트'가 터져 나오자 그동안 당정청간 소통의 채널로 활용했던 고위당정청협의회도 당분간 중단할 것임을 시사했다.

김 대표와 의혹의 한 복판에 있는 총리와 청와대 비서실장이 만나면 '성완종 파문' 대책을 숙의하기 위해 만난 것이라는 오해를 살 것이라는 게 그 이유였다.

때문에 일각에서는 '성완종 리스트'라는 핵폭탄이 터지자 김 대표가 현정부와 선긋기를 하려는 게 아니냐는 관측을 낳기도 했다.

그러나 이날 단독회동을 계기로 박 대통령은 성완종 파문의 해결사로 김 대표를 선택한 모양새가 됐다.

김 대표는 이날 회동을 마친 뒤 브리핑에서 "저는 당내외에서 분출되는 여러 의견들을 가감없이 대통령께 말씀드렸다"며 진솔한 대화가 오갔음을 강하게 내비쳤다.

이런 점으로 미뤄볼 때 김 대표는 박 대통령으로선 가장 민감한 문제일 수 있는 이 총리 거취문제까지 거론했을 것이라는 추론이 나오고 있다.

또 박 대통령이 김 대표의 의견에 대해 '순방 다녀와서 결정하겠다'고 언급한 만큼 김 대표는 여론의 추이를 봐가며 나름대로 성완종 파문 해법찾기에 골몰하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김 대표는 지난 2004년 노무현 전 대통령 탄핵이후 새누리당의 전신인 한나라당이 위기에 처하게 되자 박 대통령이 대표를 맡아 구원투수로 등판했을 때 사무총장을 맡아 함께 당재건작업에 나서며 '원조친박'의 좌장을 맡았었다.

이후 두 사람은 이명박 정부에서 세종시 문제로 관계가 소원해지기도 했지만 성완종 파문을 계기로 대통령과 집권여당의 대표로서 한 배를 탄 입장임을 다시 인식하게 됐다고 할 수 있다.

(서울연합뉴스) 김연정 기자 yjkim84@yna.co.kr, sgh@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