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희상 새정치민주연합 비상대책위원장은 "만약 정기회가 파행으로 치달으면 중대 결심할 수밖에 없다"면서 새누리당을 비판하고 나섰다.

문 위원장은 26일 열린 비대위원회에서 "새누리당이 청와대, 전 정권, 법인세의 '3대 성역'에서 벗어나 현실을 직시할 때 많은 문제가 풀린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중대 결심'이 무엇을 의미하는지는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았다.

문 위원장은 "정기회 회기가 얼마 안 남았는데 여야 협상이 겉돌아 안타깝다" 면서 "이는 새누리당이 신성불가침으로 여기는 3대 성역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첫 번째 성역은 청와대다. 새누리당에 청와대의 가이드라인은 무조건 복종할 절대명령인 것 같은데, 책임있는 여당이라면 '노(No)'라고 말할 수 있어야 한다" 면서 "특히 공무원 연금개혁은 청와대의 가이드라인보다 사회적 합의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전 정권 문제라면 무조건 감싸기로 일관하는 것은 현 정권을 위해서도 바람직하지 않다" 며 이른바 '사자방(4대강·자원외교·방위산업)' 비리 의혹 규명을 위한 국정조사 수용을 촉구했다.

문 위원장은 "세 번째 성역은 법인세다. 전 정부에서 강행 처리한 법인세 감세로 나라 곳간이 거덜났는데 법인세는 '노터치(No Touch)'라고 하면서 서민증세 타령만 한다"며 이명박 정부의 재벌감세 조치 철회를 요구했다.

한경닷컴 뉴스룸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