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한국도 이젠 기업농 제대로 키워보자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박근혜 대통령 주재로 어제 열린 제6차 무역투자진흥회의의 핵심 주제 중 하나가 농수산식품 수출 확대였다. 농림축산식품부는 가공식품의 수출 첨병화, 신선 농산물의 수출 확대, 한류 붐 활용 등의 대책을 보고했다. 특히 신선 농산물은 농협을 중심으로 물량을 규모화·계열화해 수출 경쟁력을 높이고, 이슬람 할랄 식품시장도 진출한다는 복안이다. 각론에선 대체로 문제가 없다고 본다.
하지만 중요한 알맹이가 빠졌다. 지난해 농식품 수출액은 담배 소주 라면 커피까지 다 합쳐 35억5000만달러에 그쳤다. 정부 대책대로 쌀떡볶이, 삼계탕, 장류 등의 수출을 아무리 늘려도 괄목할 신장세를 기대하기 어렵다. 진정 농업 수출확대가 목표라면 획기적인 발상의 전환을 통해 ‘농업 수출강국’을 지향하는 비전을 제시했어야 옳다. 세계 최고의 정보기술(IT)과 수출 노하우를 갖춘 민간 기업들을 농업으로 끌어들이면 얼마든지 길이 있다. 정부가 지레 포기하고 심지어 가로막고 있는 것은 아닌지 의문이 든다.
물론 쌀 관세화, 한·중 FTA 등을 놓고 일부 농민단체들이 여전히 반발한다. 하지만 ‘쇄국 농업’은 앞날이 뻔하다. 농협경제연구소에 따르면 중국과 일본조차 농업의 국제경쟁력 확보를 위해 기업농 육성에 팔을 걷어붙였다고 한다. IT기업인 중국 레노버와 일본 후지쓰, 도시바 등이 농업에 뛰어들었을 정도다. 농업의 규모화·기업화를 꾀하는 것이다. 반면 한국은 지난해 380억원을 들인 동부팜한농의 수출용 토마토사업이 오해와 무지 속에 좌초하고 말았다.
생각을 바꾸면 안 될 게 없다. 뉴욕 최고급 레스토랑의 일본산 와규 스테이크를 한우로 바꾸고, 13억 중국인의 식탁에 신선한 한국 채소를 올리지 못할 이유가 없다. 6500억달러 할랄 시장은 농업 수출의 신천지가 될 것이다. 한국영화에 자본이 몰리면서 1000만 관객 영화가 속출했듯이, 농업에도 기업들이 참여해 새로운 성공신화를 써가야 한다. 보조금의 울타리에선 농업이 클 수 없다. 선진국이 그랬듯이 우리도 농업에 기업을 참여시켜 농업과 농촌을 제대로 살려 보자.
하지만 중요한 알맹이가 빠졌다. 지난해 농식품 수출액은 담배 소주 라면 커피까지 다 합쳐 35억5000만달러에 그쳤다. 정부 대책대로 쌀떡볶이, 삼계탕, 장류 등의 수출을 아무리 늘려도 괄목할 신장세를 기대하기 어렵다. 진정 농업 수출확대가 목표라면 획기적인 발상의 전환을 통해 ‘농업 수출강국’을 지향하는 비전을 제시했어야 옳다. 세계 최고의 정보기술(IT)과 수출 노하우를 갖춘 민간 기업들을 농업으로 끌어들이면 얼마든지 길이 있다. 정부가 지레 포기하고 심지어 가로막고 있는 것은 아닌지 의문이 든다.
물론 쌀 관세화, 한·중 FTA 등을 놓고 일부 농민단체들이 여전히 반발한다. 하지만 ‘쇄국 농업’은 앞날이 뻔하다. 농협경제연구소에 따르면 중국과 일본조차 농업의 국제경쟁력 확보를 위해 기업농 육성에 팔을 걷어붙였다고 한다. IT기업인 중국 레노버와 일본 후지쓰, 도시바 등이 농업에 뛰어들었을 정도다. 농업의 규모화·기업화를 꾀하는 것이다. 반면 한국은 지난해 380억원을 들인 동부팜한농의 수출용 토마토사업이 오해와 무지 속에 좌초하고 말았다.
생각을 바꾸면 안 될 게 없다. 뉴욕 최고급 레스토랑의 일본산 와규 스테이크를 한우로 바꾸고, 13억 중국인의 식탁에 신선한 한국 채소를 올리지 못할 이유가 없다. 6500억달러 할랄 시장은 농업 수출의 신천지가 될 것이다. 한국영화에 자본이 몰리면서 1000만 관객 영화가 속출했듯이, 농업에도 기업들이 참여해 새로운 성공신화를 써가야 한다. 보조금의 울타리에선 농업이 클 수 없다. 선진국이 그랬듯이 우리도 농업에 기업을 참여시켜 농업과 농촌을 제대로 살려 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