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교육청이 25일 자율형 사립고의 일반고 전환을 1년 유예한다고 발표한 데 대해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와 전국교직원노동조합 서울지부가 엇갈린 반응을 내놨다.

한국교총은 이날 논평을 통해 "조희연 서울교육감이 시간을 갖고 자사고 문제의 해법을 찾는 유연함을 가졌다는 데 의미가 있다"고 환영의 뜻을 밝혔다.

한국교총은 "그러나 조 교육감의 입장 변화로 자사고 갈등이 다소 줄거나 시간을 벌 수 있겠지만 근본적인 해결책이 되기 어렵다"며 "자사고와 일반고가 함께 상향평준화할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해 마련하는 과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전교조 서울지부는 논평에서 "일반 중고교에 다니는 학생과 학부모, 교사들은 자사고가 끼친 평준화 해체 효과 때문에 하루하루 버티기가 힘들다"며 "즉각적인 자사고 폐지를 바라는 시민이 가질 실망을 어찌할 것인가"라고 아쉬움을 표시했다.

또 "2016년 자사고 폐지를 명확히 하고 그 이전에라도 자사고 폐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을 시행해야 한다"며 ▲ 자사고 불법 재정 지원과 특혜 전면 중단 ▲ 우수학생을 독점 선발하는 자사고의 불평등하고 비교육적 입학전형계획 중단 ▲ 자사고 자진철회 적극 설득 등을 주문했다.

이와 함께 전교조 서울지부는 "서울시민의 여론을 존중해 더 엄정하고 원칙적인 평가를 통해 평가 대상 14개 자사고 전부에 대한 재지정 중단 방침에는 한 치의 흔들림도 없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경닷컴 뉴스룸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