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산칼럼] 청년 일자리는 희망의 사다리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대학의 듀얼학사체계 활성화하고
글로벌 강소기업 육성 뒷받침하며
기능인이 대접받는 풍토 조성해야
박종구 < 한국폴리텍대 이사장 >
글로벌 강소기업 육성 뒷받침하며
기능인이 대접받는 풍토 조성해야
박종구 < 한국폴리텍대 이사장 >
3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전체 취업자 수가 지난해 동월 대비 약 65만명 늘어났다. 고용률은 64.5%로 1.1%포인트 높아졌다. 그러나 15~29세 청년층 실업률은 9.9%로 상승했다. 20대 여성 고용률은 개선됐지만 20대 남성 고용률은 악화됐다. 춘래불사춘(春來不似春)이라고 아직 완연한 봄은 아닌 듯하다.
청년 일자리 창출은 이 시대의 절박한 화두다. 기업도 열린 채용 방식으로 급속히 전환하고 있다. 잘 다듬어진 ‘옥’보다 질박하지만 잠재가치가 큰 ‘원석’을 찾겠다는 것이다. 학력과 스펙을 초월해 인성과 전문성을 갖춘 끼 있는 인재를 뽑는 데 역점을 두고 있다. 삼성그룹의 ‘스펙 초월 열린 고용’, SK그룹의 ‘바이킹 챌린지’, GS그룹의 ‘블라인드 면접’ 등이 대표적인 예다. 인재 한 명이 수만 명을 먹여 살리는 창조경제 시대에 살아 남기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다. “스펙보다 인문학적 소양을 갖춰야 한다”는 모 대기업 오너의 주장도 같은 취지다. 현오석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청년 실업난 해소를 위해 현장 실습을 조기에 실시하고 맞춤형 인재양성 여건을 강화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교육의 현장성 강화, 기업 니즈를 반영한 맞춤형 인재양성이야말로 실효성 있는 해법이다.
고졸 취업 활성화를 통해 산업수요와 직결된 맞춤형 인재양성을 추구해야 한다. 1970~1980년대에는 전문계 고교가 제공한 직업교육이 기술인력 양성과 제조업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마이스터고와 특성화고 취업률이 90.3%, 38.4%에 달하고 있다. 마이스터고 졸업생의 37%가 대기업에, 17%가 공기업에 취업했다. 고졸 인재채용 기준이 건실한 사회의 척도라는 말이 있다. 고졸 취업을 촉진해 기능인이 대접받는 풍토를 조성해야 한다.
일·학습 병행과 선(先)취업-후(後)진학 정책의 실효성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일·학습을 병행하는 듀얼시스템은 독일 스위스 등에서 이미 정착됐다. 독일은 50만개 기업이 직업훈련을 하고 있다. 영국은 16만개 사업장이 참여해 250여개의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며 연간 6조원의 경제적 편익을 창출하고 있다. 제도의 성패는 기업의 협력에 달려 있다. 자투리 시간을 내서 주경야독하기가 쉽지 않다는 근로자의 하소연에 귀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고교 졸업장만으로 사회에서 인정받는 것이 능력중심 사회로 가는 지름길이다.
대학 진학률이 70%를 넘는 고등교육 현실을 감안할 때 대학에서 듀얼 학사시스템이 활성화될 필요가 있다. 독일의 듀알리스 스튜디움은 일과 학업을 병행한 학사학위와 전문숙련공 자격 취득을 목표로 한다. 대학과 기업이 힘을 합쳐 전문기술을 갖춘 학사학위 소지자를 양성, 실효성 있는 산학협력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고용의 90% 이상을 중소기업이 책임진다. 그러나 대졸 구직자의 66%가 대기업을 희망하고 4%만이 중소기업을 선호한다. 대기업에 가는 비율은 10%에 불과하다. 일자리 미스매치를 풀기 위해서는 경쟁력 있는 강소기업을 양성하는 것이 시급하다. 독일 경제의 히든 챔피언으로 불리는 미텔슈탄트는 고용의 60%를 창출한다. 필기도구 파베르 카스텔, 프리미엄 세탁기 밀레 등이 대표적 회사다.
한국고용정보원 실태조사에 의하면 구직 시 가장 큰 애로요인은 ‘취업정보 부족’이라고 한다. 지역별 산업별 업종별로 맞춤형 정보를 적시에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2012년 중소기업중앙회 청년층 인식 조사에 따르면 ‘대기업에 비해 중소기업의 성공 가능성이 높다’고 응답한 비율은 38%인 반면 ‘언제 잘릴지 모른다’, ‘쉽게 망한다’는 응답비율은 80~90%에 달하고 있다. 중소기업에 대한 사회적 인식 수준이 낮음을 알 수 있다. 중소기업 현장 체험, 청년 인턴사원제, 장기 근속자에 대한 재정·세제 지원 등 다양한 인센티브가 강구돼야 한다. 청년 실업은 사회통합을 저해하고 성장잠재력을 약화시킨다. 청년 일자리야말로 희망의 사다리다.
박종구 < 한국폴리텍대 이사장 >
청년 일자리 창출은 이 시대의 절박한 화두다. 기업도 열린 채용 방식으로 급속히 전환하고 있다. 잘 다듬어진 ‘옥’보다 질박하지만 잠재가치가 큰 ‘원석’을 찾겠다는 것이다. 학력과 스펙을 초월해 인성과 전문성을 갖춘 끼 있는 인재를 뽑는 데 역점을 두고 있다. 삼성그룹의 ‘스펙 초월 열린 고용’, SK그룹의 ‘바이킹 챌린지’, GS그룹의 ‘블라인드 면접’ 등이 대표적인 예다. 인재 한 명이 수만 명을 먹여 살리는 창조경제 시대에 살아 남기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다. “스펙보다 인문학적 소양을 갖춰야 한다”는 모 대기업 오너의 주장도 같은 취지다. 현오석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청년 실업난 해소를 위해 현장 실습을 조기에 실시하고 맞춤형 인재양성 여건을 강화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교육의 현장성 강화, 기업 니즈를 반영한 맞춤형 인재양성이야말로 실효성 있는 해법이다.
고졸 취업 활성화를 통해 산업수요와 직결된 맞춤형 인재양성을 추구해야 한다. 1970~1980년대에는 전문계 고교가 제공한 직업교육이 기술인력 양성과 제조업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마이스터고와 특성화고 취업률이 90.3%, 38.4%에 달하고 있다. 마이스터고 졸업생의 37%가 대기업에, 17%가 공기업에 취업했다. 고졸 인재채용 기준이 건실한 사회의 척도라는 말이 있다. 고졸 취업을 촉진해 기능인이 대접받는 풍토를 조성해야 한다.
일·학습 병행과 선(先)취업-후(後)진학 정책의 실효성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일·학습을 병행하는 듀얼시스템은 독일 스위스 등에서 이미 정착됐다. 독일은 50만개 기업이 직업훈련을 하고 있다. 영국은 16만개 사업장이 참여해 250여개의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며 연간 6조원의 경제적 편익을 창출하고 있다. 제도의 성패는 기업의 협력에 달려 있다. 자투리 시간을 내서 주경야독하기가 쉽지 않다는 근로자의 하소연에 귀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고교 졸업장만으로 사회에서 인정받는 것이 능력중심 사회로 가는 지름길이다.
대학 진학률이 70%를 넘는 고등교육 현실을 감안할 때 대학에서 듀얼 학사시스템이 활성화될 필요가 있다. 독일의 듀알리스 스튜디움은 일과 학업을 병행한 학사학위와 전문숙련공 자격 취득을 목표로 한다. 대학과 기업이 힘을 합쳐 전문기술을 갖춘 학사학위 소지자를 양성, 실효성 있는 산학협력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고용의 90% 이상을 중소기업이 책임진다. 그러나 대졸 구직자의 66%가 대기업을 희망하고 4%만이 중소기업을 선호한다. 대기업에 가는 비율은 10%에 불과하다. 일자리 미스매치를 풀기 위해서는 경쟁력 있는 강소기업을 양성하는 것이 시급하다. 독일 경제의 히든 챔피언으로 불리는 미텔슈탄트는 고용의 60%를 창출한다. 필기도구 파베르 카스텔, 프리미엄 세탁기 밀레 등이 대표적 회사다.
한국고용정보원 실태조사에 의하면 구직 시 가장 큰 애로요인은 ‘취업정보 부족’이라고 한다. 지역별 산업별 업종별로 맞춤형 정보를 적시에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2012년 중소기업중앙회 청년층 인식 조사에 따르면 ‘대기업에 비해 중소기업의 성공 가능성이 높다’고 응답한 비율은 38%인 반면 ‘언제 잘릴지 모른다’, ‘쉽게 망한다’는 응답비율은 80~90%에 달하고 있다. 중소기업에 대한 사회적 인식 수준이 낮음을 알 수 있다. 중소기업 현장 체험, 청년 인턴사원제, 장기 근속자에 대한 재정·세제 지원 등 다양한 인센티브가 강구돼야 한다. 청년 실업은 사회통합을 저해하고 성장잠재력을 약화시킨다. 청년 일자리야말로 희망의 사다리다.
박종구 < 한국폴리텍대 이사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