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투자증권과 신한금융투자 등 일부 증권사가 KT ENS 직원에게 수천억원대 대출 사기를 당한 은행들에 지급보증을 선 것으로 확인됐다.

6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한국투자증권과 신한금융투자가 하나은행이 대출 사기를 당한 외상매출채권담보대출에 대해 각각 275억원, 100억원 가량을 지급보증을 했다

금융감독원은 한국투자증권, 신한금융투자 이외에도 이번 대출 사기와 관련한 증권사의 지급보증 규모를 파악하고 있다.

KT ENS 직원 김모씨는 회사 협력업체와 공모해 허위 매출채권을 발행하는 수법으로 SPC를 통해 금융권에서 수천억원을 대출받았다.

김씨 등이 만든 허위 매출채권을 이용해 SPC가 국내 금융권에서 받은 대출금은 수천억원, 남아있는 대출금 잔액만 2천800억원에 달한다.

하나은행, 농협은행, 국민은행이 모두 2천억원, 10개 저축은행이 800억원의 피해를 봤다. 하나은행의 대출잔금이 1천600억원으로 가장 많다.

은행들은 SPC가 받아간 대출에 증권사들을 포함한 다른 금융기관의 신용보강(보증)이 이뤄졌기 때문에 자금 회수에 문제가 없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은행들의 주장대로라면 증권사들은 지급보증한 금액을 보상키 위해 대손충당금을 쌓는 것이 불가피하다.

하지만 증권사들은 지급보증 책임에 대해 법리적 검토가 필요한 상황이라고 주장한다.

한 증권사 관계자는 "실제성이 없는 매출채권에 대해서도 지급보증 책임이 있는지 법리적으로 검토해야 한다"면서 "아직 대손충당금을 쌓을지를 논할 단계는 아니다"라고 말했다.


김치형기자 chkim@wowtv.co.kr
한국경제TV 핫뉴스
ㆍ두산건설, 지난해 영업익 흑자전환
ㆍKT자회사 대출사기 파장 증권사로 확산
ㆍ아무리먹어도 날씬한여성! 알고보니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