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직무적성검사(SSAT)에 응시할 수 있는 대학별 총장 추천 할당 인원을 놓고 논란이 빚어지자 삼성그룹이 대학 총장과의 개별 면담에서 양해를 구하기로 했다.

삼성 측은 27일 “대학 총장 추천제의 취지와 할당 인원에 대해 오해가 생긴 것 같다”며 “인사팀 관계자가 서울을 비롯한 전국의 대학 총장과 개별 면담해 설명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서울시내 한 사립대 관계자는 “삼성 인사팀으로부터 ‘총장을 면담해 총장추천제에 대한 양해를 구하고 싶다’는 연락을 받았다”며 “일부 대학에서는 이미 면담을 마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삼성 측이 총장추천제 할당 인원 논란에 즉각 대응하기로 함에 따라 일각에서는 대학별 할당 인원을 일부 수정하거나 총장추천제를 향후 전면 재검토할 수 있다는 관측이 제기된다.

삼성그룹이 신입사원 채용과 관련해 전국 대학에 보낸 총장추천제 할당 인원이 공개되자 이날 대학가와 인터넷 공간에서는 뜨거운 논란이 벌어졌다. 오후 한때 포털 사이트 검색순위를 관련 검색어가 점령하는 등 대학생들의 뜨거운 관심을 반영했다. 포털 사이트 다음의 실시간 검색어 순위에서는 1위부터 15위까지를 ‘삼성 경북대’ ‘삼성 한밭대’ 등 삼성과 특정 대학을 조합한 단어가 채웠다. 자신이 다니는 대학에 몇 명의 총장 추천권이 할당됐는지 궁금해한 대학생들의 검색이 이어진 탓으로 분석된다.

한 트위터리안(@simb×××××)은 “학벌 사회를 더욱 조장하는 삼성의 추천서 대학별 할당은 즉각 철회돼야 한다”고 지적한 반면 다른 누리꾼은 “대학생활을 얼마나 열심히 했는지를 반영하는 것이어서 대학교육 정상화에 도움이 된다”고 반박했다.

정치권도 논란에 가세했다. 민주당 등 야당들은 “대학 위에 삼성이 있다는 오만한 발상”이라고 공세를 펼쳤다. 한정애 민주당 대변인은 현안 브리핑을 통해 “삼성의 대학 총장 추천제 인원 할당은 대학 서열화를 부추기고 특정 재벌에 대한 대학의 종속으로 귀결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강운태 광주시장도 “삼성이 광주에 가전사업부를 두고 있음에도 호남지역 대학에 대한 할당 인원이 다른 지역에 비해 적다”며 “배려와 균형, 사회적 약자에 대한 공생 정신이 많이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논란이 가열되자 삼성 측은 “총장 추천을 받았다고 해서 삼성 입사가 보장되는 게 아니고 서류전형 없이 SSAT 응시 자격만 주는 것인데도 오해가 커졌다”며 연일 해명하고 있다. 삼성 관계자는 “총창 추천 인원 5000명 외에도 서류전형과 캠퍼스 리크루팅을 거쳐 2만8000명 이상의 SSAT 응시자를 뽑는데 마치 총장추천제가 삼성 입사의 모든 것인 듯 오해를 빚고 있다”고 말했다.

삼성은 최근 몇 년간의 대학별 입사자 수와 함께 휴대폰과 반도체, 기계공학 등 삼성이 필요로 하는 이공계 인력 졸업자 수에 비중을 두고 대학별로 인원을 할당했다. 하지만 논란이 커지자 대학 규모 및 지역 안배 등을 감안해 수정 여부를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지훈/공태윤 기자 lizi@ha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