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칼럼] 거래량 회복세 보이지만…시장 활력 속단은 어려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전문가 칼럼] 거래량 회복세 보이지만…시장 활력 속단은 어려워](https://img.hankyung.com/photo/201309/AA.7853089.1.jpg)
심화되는 전세난을 막기 위해 정부는 ‘8·28 전·월세 대책’을 발표했다. 대책의 핵심은 취득세 영구 인하,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 폐지, 분양가 상한제 탄력적 적용 등이다. 이전 정권 때부터 줄기차게 나왔던 대책이 단골메뉴로 또 등장한 것이다.
ADVERTISEMENT
‘8·28 전·월세 대책’의 일부 내용도 문제를 악화시킬 소지가 적지 않다. 전세 수요를 매매 수요로 전환하기 위해 무주택자들에게 각종 저리의 대출을 지원한다. 저리 대출은 부동산시장의 불균형을 해소하기는커녕 가계 부실 등을 키울 수 있다. 결국 빚내서 전셋값 상승분을 충당하고, 내 집을 마련하라는 근시안적인 해결 방법이다.
금융계에 따르면 지난 2분기 기준으로 가계 부채는 980조원에 달한다. 2004년 말 가계부채가 494조2000억원이었던 점을 감안하면 8년여 만에 두 배가량 증가한 셈이다. 이렇게 되면 대출 재원인 국민주택기금의 건전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가계부채의 위험성 증가는 소비를 위축시켜 한국 경제 성장에 걸림돌이 될 수도 있다.
ADVERTISEMENT
취득세 감면 혜택 종료로 7월 거래량(3만9608건)이 줄어든 데 비해서는 다소 회복세를 보이고 있으나 부동산시장의 활력을 속단하기에는 이르다. 지금 일부 지역 중소형 매매 시장의 움직임은 사상 초유의 전셋값 상승에 따른 일부 실수요자의 매수에 따른 것이다.
아무리 좋은 대책이라도 입법화되지 않는다면 무용지물이다. 올해 초 취득세 감면을 놓고서 우왕좌왕하다가 3월 중순 이후에나 감면 혜택이 확정되면서 시장의 관망세를 키우고, 거래가 더욱 악화된 사례를 이미 경험한 바 있다. 부동산시장의 패러다임이 투자가 아니라 실거주 위주로 바뀌고 있다.
ADVERTISEMENT
이해광 < 한국공인중개사협회장 >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