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년 5개월 동안 금지됐던 공매도가 31일 전면 재개된다. 전(全) 종목에 대한 공매도 허용은 2020년 3월 이후 약 5년 만이다.공매도(Short Sellig)란 투자자가 보유하지 않은 주식을 증권사 등으로부터 빌려 판 뒤, 주가가 내리면 저가에 다시 매수해 주식을 상환하면서 시세차익을 얻는 투자 기법이다.통상 공매도 재개 땐 실적 대비 거품이 낀 주가가 제자리를 찾고, 거래량 증대로 시장 유동성이 커지는 순기능이 있다. 기관들은 헤지(위험 회피) 수단을 얻게 된다. 다만 특정 종목들에 공매도 물량이 과도하게 쏠릴 경우엔 주가가 급락해 시장 불안을 키울 수 있다.앞서 금융당국은 불법적인 무차입 공매도를 근절하기 위해 2023년 11월부터 공매도를 전면 금지했다. 그 사이 무차입 공매도 방지를 위한 중앙점검시스템(NSDC)을 구축하고 투자자별 상환기간 및 담보 비율을 조정하는 등 제도를 손질했다.아울러 공매도 재개 이후 일부 종목의 변동성이 커질 가능성이 지적되면서, 5월 31일까지는 단계적, 한시적으로 공매도 과열 종목 지정제도를 확대 운영하기로 했다.지난달 말 당국이 공매도 전면 재개를 공식화한 뒤로 공매도의 선행지표로 꼽히는 '대차거래 잔고 수량'이 코스피 20%, 코스닥 40%가량 증가해 공매도 시행을 앞두고 투자자들의 움직임이 포착되기도 했다.한지영 키움증권 연구원은 "이날 공매도가 재개돼 수급적인 측면에서 일시적인 주가 왜곡을 만들어 낼 수 있다"며 "외국인의 반도체, 방산 등 특정 업종의 집중 공매도로 인해 지수 충격이 불가피할 것이라는 불안감이 있는 상황"이라고 짚었다.그는 "단기적으로는 2차전지와 바이오, HBM 등 지난주 기준 대차잔고 증가율이
KB증권은 31일 삼성전자에 대해 "올 2분기부터 메모리 상승 사이클에 진입할 것"이라며 목표주가를 기존 7만원에서 8만2000원으로 상향 조정했다. 투자의견은 '매수'를 유지했다.이 증권사 김동원 연구원은 "최근 D램과 낸드 공급이 고객사 요청 주문량의 절반에도 못 미치고 있다"며 "공급이 수요 회복 속도를 크게 밑돌면서 고객사들의 긴급 주문이 증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이어 "이에 따라 삼성전자는 다음달부터 D램과 낸드 가격 인상을 추진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삼성전자의 1분기 영업이익은 5조2000억원으로 시장 컨센서스(증권사 추정치 평균·5조2000억원)에 부합하고 4분기까지도 증가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다.하반기에도 범용(레거시) 메모리 수급 개선 추세가 지속될 것으로 김 연구원은 전망했다. 이에 따른 반도체(DS) 영업이익은 △1분기 5000억원 △2분기 2조8000억원 △3분기 6조3000억원 △4분기 8조1000억원 등으로 큰 폭의 개선세가 예상된다.김 연구원은 "올해부터 내년까지 D램과 낸드 수요 증가율(15%)이 생산 증가율(10%)을 웃돌 것"이라며 "고객사의 재고조정 종료로 이달 말부터 정상 재고(6~7주)에 진입했다"고 말했다.아울러 "올 하반기 엔비디아 HBM3E 12단 공급 가능성 확대로 D램 제품의 믹스 개선과 공급 축소가 예상된다"며 "특히 올 하반기 출시 예정인 아이폰17은 애플 인텔리전스 구동을 위해 메모리 용량이 8GB에서 12GB로 확대가 불가피해 향후 모바일 D램 수요의 촉매로 작용할 것"이라고 덧붙였다.고정삼 한경닷컴 기자 jsk@hankyung.com
한솔그룹이 정보기술(IT)·지류 유통 계열사이자 유가증권시장 상장사인 한솔PNS 주식을 전량 공개 매수하며 상장폐지시키기로 했다.한솔그룹 지주사인 한솔홀딩스는 한솔PNS 주식 1105만2677주(총 발행 주식 수의 53.93%)를 주당 1900원에 공개매수한다고 30일 공고했다. 31일부터 다음달 30일까지 31일간이다. 공개매수 주관사는 NH투자증권이다.한솔홀딩스는 한솔PNS 지분 46.07%를 보유한 최대주주다. 한솔PNS를 자발적으로 상장폐지하고자 약 210억원을 들여 보유하고 있지 않은 나머지 유통 주식을 전부 취득할 계획이다. 한솔홀딩스는 “상장폐지로 피해를 볼 투자자를 보호하기 위해 시가 대비 프리미엄이 반영된 공개매수 금액으로 투자금을 회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려고 한다”고 밝혔다.한솔PNS의 지난해 매출은 3136억으로 전년 대비 0.63%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34억원으로 1년 만에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1989년 유가증권시장에 상장한 지 약 36년 만에 상장폐지 절차를 밟을 가능성이 커졌다. 한솔PNS 주가는 지난 28일 기준 1199원이다.민경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