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교수님'으로 변신한 금융거물들 첫 강의…권혁세 前금융감독원장
“일자리를 늘리기 위해서도 독일처럼 강한 중소·중견을 많이 키워야 합니다. 그런 기업을 많이 만들어내려면 금융이 제대로 역할을 해야 합니다.”

권혁세 전 금융감독원장(사진)이 모교인 서울대 경영학과 강단에 섰다. 가을학기에 개설된 3학점짜리 ‘재무특강’이 5일 시작됐다. 첫 강의에서 권 전 원장은 독일을 주목하자고 제안했다. “삼성전자와 현대자동차가 언제까지 우리나라의 ‘캐시카우’로 외환보유액을 늘려 줄 수 있을까요. 독일은 중소·중견기업이 탄탄하기 때문에 어떤 경제위기나 재정위기가 와도 큰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청년실업률도 최저 수준이고요.”

그는 독일 경제가 강한 이유 중 하나로 산업과 금융의 유기적 관계를 꼽았다. “독일이 강소기업인 ‘히든 챔피언’을 많이 보유한 데는 은행과 기업이 오랫동안 거래하면서 꾸준히 지원하는 금융시스템이 큰 역할을 했다”는 설명이다. 반면 국내 금융권엔 여전히 ‘비올 때 우산을 빼앗는’ 관행이 존재한다고 비판했다. “은행들은 기업이 잘될 때 돈을 빌려가라고 하다가도 조금만 어려워지면 회수하지 않느냐”며 “우리 금융시스템도 독일처럼 중소·중견기업을 육성하는 체제로 바뀌어야 한다”는 주장이다.

권 전 원장은 한국 경제가 일본식 장기불황을 겪을 것이란 우려에 대해 ‘그래도 희망이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가계부채 문제 등으로 좀처럼 내수가 살아나지 않는 상황에서 여러 지표가 일본과 비슷하게 가고 있어 걱정이지만 그래도 우리는 모든 경제주체가 일본과 달리 역동적이고 포용성이 큰 만큼 희망을 가져도 된다”는 설명이다.

다만 포퓰리즘 성격의 법안 양산에는 큰 우려를 보였다. “정치권에서 포퓰리즘 법안이 활개치고, 정작 필요한 것들은 잘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노키아가 한순간에 무너지듯이 우리도 중국에 추월당할 수 있다는 경계심을 가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지난 3월 퇴임한 권 전 원장은 서울 통의동 금감원 연수원에 마련된 사무실로 출근하며 내달 초 출간될 ‘경제 에세이’ 집필에 많은 시간을 할애했다. 그는 “고시공부할 때처럼 하루에 7~8시간씩 책을 읽고 글을 썼다”고 말했다.

류시훈 기자 bad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