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산 칼럼] 헬스케어산업은 새로운 먹거리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수출·고용 성장잠재력 큰 시장
병원 간 M&A·영리병원 허용 등
규제 풀어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박종구 한국폴리텍대 이사장
병원 간 M&A·영리병원 허용 등
규제 풀어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박종구 한국폴리텍대 이사장
글로벌 저성장 시대에 헬스케어산업이 신성장동력으로 떠오르고 있다. 2010년 국내총생산(GDP) 대비 의료비 비중은 7.1%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 9.5%보다 낮다. 우리나라 의약품, 의료기기, 의료서비스 글로벌 점유율은 1~2% 수준이다.
그러나 성장잠재력은 매우 높다. 매년 3000명 이상의 의료인력이 배출되고 있다. 선진국 수준의 진료시스템과 정보기술(IT) 경쟁력도 확보하고 있다. 따라서 뛰어난 IT 기술력과 의료산업을 연계한 융복합형 헬스케어산업 육성에 역점을 둘 필요가 있다. 정부도 창조경제의 핵심산업으로 육성하려는 계획을 갖고 있다. 2020년 ‘세계 7대 제약강국 도약’을 위해 2017년까지 수출 11조원 달성, 글로벌 신약 4개 창출을 목표로 하고 있다.
정부·병원·기업 간 역할분담으로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해야 한다. 정부는 기술·규격 표준화 등 제도정비와 기초연구, 고위험 연구 등을 적극 지원해야 한다. 병원은 예방과 연구 중심체제로 체질을 개선하고 개방형 혁신, 기업과의 공동연구를 촉진해야 한다. 제약, 기기 부문에 대한 대기업의 참여도 보다 활성화돼야 한다. 미국 화이자의 연구개발(R&D) 예산은 동아제약 연간 매출을 웃돈다.
영세한 기업 규모로는 글로벌 시장에서 제 목소리를 낼 수 없다. 세계 제약시장에서 미국 점유율은 2011년 36.7%에 달한다. 화이자, 머크, 존슨앤드존슨, 에보트가 세계 10위권에 들어 있다. 유럽연합(EU)은 약 27%로 스위스 노바티스와 로슈, 프랑스 사노피, 영국 글락소스미스클라인 등이 포함된다. 따라서 기업 간 통합으로 규모의 경제를 구현해야 한다. 일본이 2000년대 이후 인수합병(M&A)을 통해 다케다, 아스텔라스 같은 글로벌 기업을 탄생시킨 것은 타산지석이 아닐 수 없다.
병원 간 M&A도 촉진돼야 한다. 미국의 경우 최근 커뮤니티 헬스시스템과 헬스매니지먼트 어소시에이츠가 합병해 71억달러 규모의 거대 병원이 탄생했다. 뉴욕시에서 고용을 가장 많이 하는 18개 기업 중 4개가 대형병원이다. 부스앨런 컨설팅은 5~7년 내 약 1000개 병원이 통폐합될 것으로 전망한다. 이와 함께 연구중심 병원이 보다 활성화돼야 한다. 기업과의 개방형 연구 시스템을 강화하고 진료 일변도에서 벗어나 연구기능이 보다 촉진돼야 한다. 기초연구 대비 임상연구 비율을 선진국 수준으로 끌어올리고 임상, 중개연구에 대한 공적 지원도 확충돼야 한다.
영리병원이나 원격진료도 허용돼야 한다. 현재는 투자자본 유치나 해외 현지투자를 위한 특수목적법인 설립이 어렵다. 미국은 영리병원과 비영리병원이 균형 있게 발전해왔다. 잘 알려진 휴스턴 MD앤더슨 병원은 2010년 20억5000만달러 매출에 5억3000만달러의 경상이익을 내 이윤율이 26%나 된다. 태국은 민간병원을 상법상 주식회사 형태로 운영할 수 있고 의료법인에 대한 외국인투자 확대, 선진 의료시스템 도입을 촉진하였다.
의료관광산업을 의료와 관광을 접목한 융합산업으로 키워야 한다. 우리는 세계적 진료시스템과 의료 인프라를 갖추고 있어 의료관광 미래가 밝다. 따라서 수출산업으로 지정하고 의료관광특별법을 제정, 지원제도를 정비해야 한다. 인도는 의료관광을 수출산업으로 육성하고 있다. 높은 의료기술에 비해 의료비가 저렴하다. 심장혈관우회수술의 경우 미국은 13만달러가 들지만 인도는 1만달러 선이다. 심장절개수술, 히프교체수술 등은 세계적 수준이다. 최근에는 건강보험에 대한 외국인 직접투자 상한을 51%로 확대했다. 샴 쌍둥이 지혜와 사랑이 분리수술로 유명한 싱가포르 레플스병원은 환자의 30% 이상이 외국인으로 시장 개방의 성공 사례로 꼽힌다.
의료기기도 성장 가능성이 크다. 2011년 최대 기기업체 존슨앤드존슨 매출이 257억달러인 반면 삼성메디슨은 2억2000만달러에 불과하다. 그러나 우리의 강점인 IT 기술과 접목된 추격형 전략이 적극 추진된다면 글로벌 시장점유율을 빠르게 끌어올릴 수 있다. 맥킨지 분석에 따르면 평균수명이 7~10년인 의료기기는 통상 1년 내 투자원금을 회수한다고 한다. 헬스케어는 우리의 미래 먹거리를 창조하는 핵심산업이다.
박종구 < 한국폴리텍대 이사장 >
그러나 성장잠재력은 매우 높다. 매년 3000명 이상의 의료인력이 배출되고 있다. 선진국 수준의 진료시스템과 정보기술(IT) 경쟁력도 확보하고 있다. 따라서 뛰어난 IT 기술력과 의료산업을 연계한 융복합형 헬스케어산업 육성에 역점을 둘 필요가 있다. 정부도 창조경제의 핵심산업으로 육성하려는 계획을 갖고 있다. 2020년 ‘세계 7대 제약강국 도약’을 위해 2017년까지 수출 11조원 달성, 글로벌 신약 4개 창출을 목표로 하고 있다.
정부·병원·기업 간 역할분담으로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해야 한다. 정부는 기술·규격 표준화 등 제도정비와 기초연구, 고위험 연구 등을 적극 지원해야 한다. 병원은 예방과 연구 중심체제로 체질을 개선하고 개방형 혁신, 기업과의 공동연구를 촉진해야 한다. 제약, 기기 부문에 대한 대기업의 참여도 보다 활성화돼야 한다. 미국 화이자의 연구개발(R&D) 예산은 동아제약 연간 매출을 웃돈다.
영세한 기업 규모로는 글로벌 시장에서 제 목소리를 낼 수 없다. 세계 제약시장에서 미국 점유율은 2011년 36.7%에 달한다. 화이자, 머크, 존슨앤드존슨, 에보트가 세계 10위권에 들어 있다. 유럽연합(EU)은 약 27%로 스위스 노바티스와 로슈, 프랑스 사노피, 영국 글락소스미스클라인 등이 포함된다. 따라서 기업 간 통합으로 규모의 경제를 구현해야 한다. 일본이 2000년대 이후 인수합병(M&A)을 통해 다케다, 아스텔라스 같은 글로벌 기업을 탄생시킨 것은 타산지석이 아닐 수 없다.
병원 간 M&A도 촉진돼야 한다. 미국의 경우 최근 커뮤니티 헬스시스템과 헬스매니지먼트 어소시에이츠가 합병해 71억달러 규모의 거대 병원이 탄생했다. 뉴욕시에서 고용을 가장 많이 하는 18개 기업 중 4개가 대형병원이다. 부스앨런 컨설팅은 5~7년 내 약 1000개 병원이 통폐합될 것으로 전망한다. 이와 함께 연구중심 병원이 보다 활성화돼야 한다. 기업과의 개방형 연구 시스템을 강화하고 진료 일변도에서 벗어나 연구기능이 보다 촉진돼야 한다. 기초연구 대비 임상연구 비율을 선진국 수준으로 끌어올리고 임상, 중개연구에 대한 공적 지원도 확충돼야 한다.
영리병원이나 원격진료도 허용돼야 한다. 현재는 투자자본 유치나 해외 현지투자를 위한 특수목적법인 설립이 어렵다. 미국은 영리병원과 비영리병원이 균형 있게 발전해왔다. 잘 알려진 휴스턴 MD앤더슨 병원은 2010년 20억5000만달러 매출에 5억3000만달러의 경상이익을 내 이윤율이 26%나 된다. 태국은 민간병원을 상법상 주식회사 형태로 운영할 수 있고 의료법인에 대한 외국인투자 확대, 선진 의료시스템 도입을 촉진하였다.
의료관광산업을 의료와 관광을 접목한 융합산업으로 키워야 한다. 우리는 세계적 진료시스템과 의료 인프라를 갖추고 있어 의료관광 미래가 밝다. 따라서 수출산업으로 지정하고 의료관광특별법을 제정, 지원제도를 정비해야 한다. 인도는 의료관광을 수출산업으로 육성하고 있다. 높은 의료기술에 비해 의료비가 저렴하다. 심장혈관우회수술의 경우 미국은 13만달러가 들지만 인도는 1만달러 선이다. 심장절개수술, 히프교체수술 등은 세계적 수준이다. 최근에는 건강보험에 대한 외국인 직접투자 상한을 51%로 확대했다. 샴 쌍둥이 지혜와 사랑이 분리수술로 유명한 싱가포르 레플스병원은 환자의 30% 이상이 외국인으로 시장 개방의 성공 사례로 꼽힌다.
의료기기도 성장 가능성이 크다. 2011년 최대 기기업체 존슨앤드존슨 매출이 257억달러인 반면 삼성메디슨은 2억2000만달러에 불과하다. 그러나 우리의 강점인 IT 기술과 접목된 추격형 전략이 적극 추진된다면 글로벌 시장점유율을 빠르게 끌어올릴 수 있다. 맥킨지 분석에 따르면 평균수명이 7~10년인 의료기기는 통상 1년 내 투자원금을 회수한다고 한다. 헬스케어는 우리의 미래 먹거리를 창조하는 핵심산업이다.
박종구 < 한국폴리텍대 이사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