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수첩] 귀막은 3D프린터 정책
“정부에서 3차원(3D)프린터 관련 정책 발표가 오는 9월 말에 있을 예정인 만큼 언론의 사전 보도가 정부와 조화롭게 가야 할 것 같습니다.”

기자가 3D프린터를 취재하기 위해 최근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전자부품연구원에 연락하자, 책임자인 A본부장이 취재에 협조할 수 없다며 한 말이다. 그는 “3D프린터 업계 종사자 수가 아직 적고 이해관계가 갈리는 상황에서 전문가들이 서로 다른 편협한 사견을 주장한 것들이 언론에 실리면 혼돈이 생길까 우려된다”고 덧붙였다. 정부 정책과 다른 방향으로 기사를 쓸까봐 협조를 해줄 수 없다는 얘기였다. 언론이 ‘편협한 사견’조차 제대로 걸러내지 못할 것이라고 단정한 것일까.

미국 유럽 등과 달리 한국의 3D프린터 산업은 걸음마 단계다. 그만큼 전문가들도 찾기 어렵다. 그나마 3D프린터 자체에 대한 인식은 어느 정도 확산돼 있지만 프린팅용 소재나 스캐너, 소프트웨어 등 유관 분야에 대해 잘 아는 사람은 드물다. 그래서 3D프린터 관련 정책을 총괄하고 있는 전자부품연구원의 전문가 의견은 취재를 위해 반드시 필요했다.

하지만 뜻밖의 답변이 돌아온 것이다. 기자가 “선진국이 3D프린터 분야에서 한국보다 앞서 나가고 있는 만큼 객관적인 상황을 소개해 여론의 주의를 환기시키려 할 뿐”이라고 재차 설명했지만 요지부동이었다.

하는 수 없이 민간 전문가들을 수소문해 인터뷰를 진행했다. 아니나 다를까. 정책 수립에 직간접적으로 참여하고 있다는 이들 사이에선 이미 정부에 대한 불만이 팽배한 상황이었다. 한 업계 전문가는 “정부에 한국의 3D프린터 산업환경이 얼마나 열악한지, 어떤 지원과 조치를 취해야 하는지 누차 강조했지만 말이 좀처럼 통하지 않았다”며 “국내에서 꾸준히 기술을 개발해 온 전문가들과 업체들의 얘기는 외면한 채 외국 기술이나 보고서만 들여다본다”고 했다.

걸음마 단계인 3D프린터 산업은 다양한 의견을 듣고 수렴하는 열린 자세가 필요하다. 미국 유럽은 물론 중국에서도 지난해에 벌써 관련 정책을 내놓은 터다. 언론의 질타가 이어지자 뒤늦게 ‘벼락치기’에 나선 정부라면 더욱 그래야 한다. 마음에 들지 않는 기사를 우려해 기본적인 취재 협조조차 거부하는 정부가 미래 기술과 관련된 정책을 제대로 만들 수 있을지 의문이 든다.

남윤선 국제부 기자 inkling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