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로 쓰는 경제학원론] 꼬리칸 주민 74%를 죽이라 명령한 까닭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시네마노믹스 - 한걸음 더 !
윌포드는 왜 꼬리칸 주민의 74%를 죽이라고 명령했을까.
우선 <그래프2>를 보자. 이 그래프는 노동투입량(L)과 식량(Y)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것으로 맬서스가 인구론에서 가정한 경제 상황을 묘사한 것이다. 곡선인 생산곡선(AP)은 L명의 사람이 일해 얻을 수 있는 생산량을 뜻한다. 생산량은 ‘수확체감의 법칙’에 따라 직선이 아닌 볼록한 모양의 곡선이 된다. 추가적인 노동 투입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식량의 양이 점차 줄어들기 때문이다.
반면 SB선은 L명의 사람을 먹여 살리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식량을 나타낸다. 생산량과 달리 소비량은 인구가 늘어나는 것에 비례해 늘어나기 때문에 우상향으로 뻗은 직선이 된다.
현재 설국열차 상황은 L2라고 볼 수 있다. 이 열차 안의 사람이 만들어낼 수 있는 식량의 양은 AP선 위 C점을 따른다. 하지만 현재 필요한 식량은 SB선 위의 D점을 따르는데 이는 C보다 한참 위에 있다. 생산된 식량의 양이 사람들을 먹여 살리는 데 필요한 최소한의 양보다 적은 상황이다. 이 경우 인구는 자연스레 감소해 E의 위치로 이동하게 될 것이다. 생존에 필요한 식량보다 더 많이 생산할 경우(L1)는 반대로 인구가 늘어나 E로 이동할 것이다. 그래서 AP선과 SB선이 만나는 E점을 ‘맬서스균형점’이라고 부를 수 있다.
이 과정은 질병, 기아 등을 통해 점차적으로 이뤄질 수도 있다. 하지만 설국열차의 독재자였던 윌포드는 인위적인 방법으로 단기간에 균형점에 도달하려고 했다. 꼬리칸의 인구 74%가 L2와 L0의 차이였던 셈이다.
이승우 기자 leeswoo@hankyung.com
우선 <그래프2>를 보자. 이 그래프는 노동투입량(L)과 식량(Y)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것으로 맬서스가 인구론에서 가정한 경제 상황을 묘사한 것이다. 곡선인 생산곡선(AP)은 L명의 사람이 일해 얻을 수 있는 생산량을 뜻한다. 생산량은 ‘수확체감의 법칙’에 따라 직선이 아닌 볼록한 모양의 곡선이 된다. 추가적인 노동 투입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식량의 양이 점차 줄어들기 때문이다.
반면 SB선은 L명의 사람을 먹여 살리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식량을 나타낸다. 생산량과 달리 소비량은 인구가 늘어나는 것에 비례해 늘어나기 때문에 우상향으로 뻗은 직선이 된다.
현재 설국열차 상황은 L2라고 볼 수 있다. 이 열차 안의 사람이 만들어낼 수 있는 식량의 양은 AP선 위 C점을 따른다. 하지만 현재 필요한 식량은 SB선 위의 D점을 따르는데 이는 C보다 한참 위에 있다. 생산된 식량의 양이 사람들을 먹여 살리는 데 필요한 최소한의 양보다 적은 상황이다. 이 경우 인구는 자연스레 감소해 E의 위치로 이동하게 될 것이다. 생존에 필요한 식량보다 더 많이 생산할 경우(L1)는 반대로 인구가 늘어나 E로 이동할 것이다. 그래서 AP선과 SB선이 만나는 E점을 ‘맬서스균형점’이라고 부를 수 있다.
이 과정은 질병, 기아 등을 통해 점차적으로 이뤄질 수도 있다. 하지만 설국열차의 독재자였던 윌포드는 인위적인 방법으로 단기간에 균형점에 도달하려고 했다. 꼬리칸의 인구 74%가 L2와 L0의 차이였던 셈이다.
이승우 기자 leesw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