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드컵 앞둔 브라질, 망가진 경제에 분노
지난 13일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의 코파카바나 해변은 떠들썩했다. 2014년 브라질 월드컵 개막을 만 1년 앞두고 날짜를 카운트다운하는 시계가 설치됐기 때문이다.

하지만 같은 시간, 비행기로 한 시간 거리인 상파울루는 학생들의 시위로 시끄러웠다. “월드컵 준비를 할 돈으로 공공교통 요금을 내리라”는 구호가 거리를 뒤덮었다. 며칠 만에 시위는 전국으로 번져 17일 시위대는 20만명까지 불어났다. 20여년 만에 최대 규모다. 축구를 좋아하는 것으로 유명한 브라질 국민들도 월드컵보다 망가지는 경제에 더 관심이 많다.

◆어설픈 돈 풀기가 끌어올린 물가

지난 7일 상파울루 시내버스 요금이 3헤알(약 1570원)에서 3.2헤알(약 1670원)로 인상된 게 시위를 촉발시켰다. 가격 인상 폭은 크지 않지만 시민들은 브라질 정부가 월드컵 준비를 위해 쓰고 있는 막대한 예산에 분노했다. 브라질 정부는 월드컵 경기장 건설과 교통 인프라 개선에 300억헤알(약 15조5000억원)을 책정하고 있다. 경기장 건설이 지연되면서 실제 지출액은 이를 훌쩍 넘을 전망이다.

그렇다고 브라질 정부가 국민들의 빈곤을 외면한 것은 아니다. 좌파정당인 노동자(PT)당 소속의 지우마 호세프 대통령은 2011년 취임 이후 3000억헤알(약 155조원)을 풀었다. 서민주택 건설을 비롯한 공공투자 확대를 통해 경제를 부양하기 위해서다.

하지만 기대와 달리 성장률은 곤두박질치고 풀린 돈은 물가만 끌어올렸다. 2010년 7.5%였던 브라질 성장률은 지난해 0.8%까지 떨어졌다. 반면 지난해 물가상승률은 5.4%를 기록한 데 이어 올해는 6.1%까지 치솟을 전망이다.

◆대선까지 겹쳐 재정수지 더욱 악화될 듯

정부 주도의 투자 확대만으로 경제를 부양하기 힘들다는 점을 깨달은 브라질 정부는 뒤늦게 각종 규제 완화책을 내놓고 있다. 외국인 투자의 대표적인 걸림돌로 지적돼온 채권 및 파생상품에 대한 금융거래세를 폐지한 것이 대표적이다. 최근 금리를 두 차례 인상한 데 이어 추가 금리 인상설이 나오는 것도 외국인 자금 이탈을 막기 위해서다.

더 큰 문제는 월드컵 이후다. 우선 내년 대선을 앞둔 브라질 정부는 앞으로도 계속 돈을 풀 전망이다. 크리스 저먼 유로아시아그룹 연구원은 “호세프 대통령은 여전히 재정 지출을 통한 성장률 상승을 믿고 있다”고 말했다.

때문에 작년 2.4%에서 올해 1.5%로 쪼그라들 것으로 예상되는 국내총생산(GDP) 대비 재정수지 흑자 비율은 내년 0.9%까지 떨어질 전망이다. 파이낸셜타임스는 “GDP 대비 35.2% 규모인 국채 이자 상환 비용을 고려할 때 재정수지 흑자 비율이 1.5% 밑으로 떨어지면 사실상의 재정 적자”라고 지적했다.

이 같은 문제를 감안해 국제신용평가사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는 지난 7일 브라질 국채신용등급 전망을 ‘안정적’에서 ‘부정적’으로 하향 조정했다. 일각에서는 올림픽 개최 이후 재정위기에 직면한 그리스의 전철을 브라질이 밟을 수 있다는 전망까지 나온다.

노경목 기자 autonom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