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경대 김세권 교수,해양바이오 관련 영문서적 10권 한꺼번에 출판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키틴 키도산, 올리고당 및 그 유도체’ 등 10권 주 편집자로 출판
부경대학교 화학과 김세권 교수(해양바이오프로세스연구단 단장)가 해양바이오 관련 영문서적 10권을 주편집자로 집필, 국제 유명 출판사에서 출판해 주목을 받고 있다.
김 교수는 자연과학분야 전문 출판사인 미국 CRC 출판사에서 「Chitin, Chitosan, Oligosaccharides and Their Dervatives:Biological Activities and Applications(키틴·키토산, 올리고당 및 그 유도체: 생리활성과 응용), Marine Cosmeceuticals:Trends and Applications(해양기능성 화장품: 동향과 전망), Marine Pharmacognosy: Trends and Applications(해양생약학: 동향과 전망), Marine Biomaterials: Characterization, Isolation and Applications(해양바이오신소재: 특성, 분리 및 응용), Marine Nutraceuticals: Prospects and Perspectives(해양식의약: 동향과 전망)를 발간했다.
미국 Wiley 출판사에서 Handbook of Marine Macroalgae(해조류 편람), Marine Proteins and Peptides: Biological Activities and Applications(해양 단백질 및 펩타이드: 생리활성 및 응용), Marine Microbiology: Bioactive Compounds and Biotechnological Applications(해양미생물: 생리활성 및 생명공학에 응용)를, 영국 Academic Press에서 Advances in Food and Nutrition Research Vol 64 Marine Medicinal Foods: Macro and Microalgae (해양의약식품:해조류편)과 65호 Marine Medicinal Foods: Animals and Microbes(해양의약식품: 해양동물 및 미생물)를 각각 출판했다.
이 책들은 세계 해양바이오 전문 과학자들이 참여해 해양생물의 생리활성, 활용방법 등 최신 연구 동향을 총망라하고 있다. 김 교수는 이 책들의 편집계획과 원고수집 및 교정까지 맡아 직접 집필했다.
지구 전체 생물 중 약 80%가 바다에 서식하고 있으나 현재 약 5% 정도만이 활용되고 있어 대부분 미이용 자원이다. 지금까지 대부분의 육상 동·식물체와 미생물로부터 생체에 대한 안전성이 높고 부작용이 적은 생물소재 및 의약소재들이 다수 개발되어 왔다. 그 결과 육상생물자원에서의 신소재, 신물질 개발은 그 연구대상이 점차 줄어들어 한계에 다다름에 따라 해양생물 자원이 주목받고 있는 실정에서 김 교수의 해양바이오관련 전문서적의 출간은 해양생물 자원의 산업적 활용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김 교수가 주편집자로 이 전문서적들을 출판하게 된 것은 세계적으로 해양바이오분야에 선도적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는 해양생물로부터 생리활성물질의 탐색 및 개발에 대한 530여 편(SCI 360여 편)의 논문을 발표했다.120여 개의 특허를 보유하고 있으며 50여 권의 책을 출판했다.
김 교수는 이번 출판에 이어 수산가공부산물의 고도활용(Advanced in Seafood Processing Byproduct, CRC), 해양생물공학 편람(Handbook of Marine Biotechnology), 해조 추출물 활용(Marine Algae Extracts), 고급 수산식품과학(Advanced in Seafood Science)등의 전문서적들도 미국 CRC, Wiley 및 영국의 Springer출판사에서 곧 출간할 예정이다.
부산=김태현 기자 hyun@hankyung.com
부경대학교 화학과 김세권 교수(해양바이오프로세스연구단 단장)가 해양바이오 관련 영문서적 10권을 주편집자로 집필, 국제 유명 출판사에서 출판해 주목을 받고 있다.
ADVERTISEMENT
미국 Wiley 출판사에서 Handbook of Marine Macroalgae(해조류 편람), Marine Proteins and Peptides: Biological Activities and Applications(해양 단백질 및 펩타이드: 생리활성 및 응용), Marine Microbiology: Bioactive Compounds and Biotechnological Applications(해양미생물: 생리활성 및 생명공학에 응용)를, 영국 Academic Press에서 Advances in Food and Nutrition Research Vol 64 Marine Medicinal Foods: Macro and Microalgae (해양의약식품:해조류편)과 65호 Marine Medicinal Foods: Animals and Microbes(해양의약식품: 해양동물 및 미생물)를 각각 출판했다.
이 책들은 세계 해양바이오 전문 과학자들이 참여해 해양생물의 생리활성, 활용방법 등 최신 연구 동향을 총망라하고 있다. 김 교수는 이 책들의 편집계획과 원고수집 및 교정까지 맡아 직접 집필했다.
ADVERTISEMENT
김 교수가 주편집자로 이 전문서적들을 출판하게 된 것은 세계적으로 해양바이오분야에 선도적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는 해양생물로부터 생리활성물질의 탐색 및 개발에 대한 530여 편(SCI 360여 편)의 논문을 발표했다.120여 개의 특허를 보유하고 있으며 50여 권의 책을 출판했다.
김 교수는 이번 출판에 이어 수산가공부산물의 고도활용(Advanced in Seafood Processing Byproduct, CRC), 해양생물공학 편람(Handbook of Marine Biotechnology), 해조 추출물 활용(Marine Algae Extracts), 고급 수산식품과학(Advanced in Seafood Science)등의 전문서적들도 미국 CRC, Wiley 및 영국의 Springer출판사에서 곧 출간할 예정이다.
부산=김태현 기자 hyun@hankyung.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