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하나로 등 대형마트 육성이 유통구조 개혁이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박근혜 대통령이 엊그제 농협 하나로클럽을 방문해 농축산물 유통구조 개선을 새 정부의 핵심과제로 삼아 중점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박 대통령은 “유통구조가 복잡해 (불필요한 부분이) 채소류는 70%, 과일류는 50%에 달한다”며 “산지에선 심한 경우 밭을 갈아엎는데 정작 소비자들은 밥상 차리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고 지적했다. 따라서 정부는 유통인프라 구축에 주력하고, 농협도 제 역할을 해달라는 게 대통령의 주문이다.
장바구니 물가 안정을 위해 방향은 제대로 잡았다고 본다. 농축산물의 수급과 가격 안정이야말로 국민이 편안한 삶을 누리는 데 필수조건이다. 하지만 실상은 반대다. 산지의 소·돼지 값이 내렸어도 소매가격은 요지부동이고, 채소 값은 순식간에 2~3배씩 폭등·폭락하기 일쑤다. 많게는 6~7단계를 거치면서 가격에 붙는 군더더기 비용이 너무 많다. 한우 값이 비싼 것은 농민과 소비자 사이에 수집상, 공판장, 도매상, 유통업체를 거치면서 유통비용이 최종가격의 40% 가까이 붙기 때문이다.
역대 정부마다 유통구조 혁신을 외쳤지만 성과는 별 게 없었다. 농축산인 단체인 농협도 노력은 했겠지만 생산자도, 소비자도 모두 만족스럽지 못한 게 현실이다. 대통령이 농협 본연의 역할을 강조한 이유다. 하지만 유통 혁신은 농협만으로는 부족하다. 복잡한 유통구조가 온존하는 것은 생산자, 중간상 모두 영세한 때문이다. 축산물 수집상은 읍·면 단위에 머물러 있고, 채소류는 산지 유통인이 70% 이상을 취급하는 식이다.
생산부터 수집·물류·포장·분산까지 대형화, 전문화가 이뤄지지 않는 한 유통단계 축소는 요원하다. 생산·소비자 직거래보다 나은 유통방식은 없을 것이다. 이런 유통구조 개선은 사실 대형마트들이 지난 20년간 꾸준히 해온 일이다. 농축수산물의 산지 직매입, 사전 계약구매, 위탁재배는 물론 이제는 바이어가 직접 경매에 참여할 정도다. 그럼에도 정부나 정치권은 대형마트의 손발을 묶는 데만 혈안이다. 대형마트를 키우는 것이 유통개혁의 출발점이다.
장바구니 물가 안정을 위해 방향은 제대로 잡았다고 본다. 농축산물의 수급과 가격 안정이야말로 국민이 편안한 삶을 누리는 데 필수조건이다. 하지만 실상은 반대다. 산지의 소·돼지 값이 내렸어도 소매가격은 요지부동이고, 채소 값은 순식간에 2~3배씩 폭등·폭락하기 일쑤다. 많게는 6~7단계를 거치면서 가격에 붙는 군더더기 비용이 너무 많다. 한우 값이 비싼 것은 농민과 소비자 사이에 수집상, 공판장, 도매상, 유통업체를 거치면서 유통비용이 최종가격의 40% 가까이 붙기 때문이다.
역대 정부마다 유통구조 혁신을 외쳤지만 성과는 별 게 없었다. 농축산인 단체인 농협도 노력은 했겠지만 생산자도, 소비자도 모두 만족스럽지 못한 게 현실이다. 대통령이 농협 본연의 역할을 강조한 이유다. 하지만 유통 혁신은 농협만으로는 부족하다. 복잡한 유통구조가 온존하는 것은 생산자, 중간상 모두 영세한 때문이다. 축산물 수집상은 읍·면 단위에 머물러 있고, 채소류는 산지 유통인이 70% 이상을 취급하는 식이다.
생산부터 수집·물류·포장·분산까지 대형화, 전문화가 이뤄지지 않는 한 유통단계 축소는 요원하다. 생산·소비자 직거래보다 나은 유통방식은 없을 것이다. 이런 유통구조 개선은 사실 대형마트들이 지난 20년간 꾸준히 해온 일이다. 농축수산물의 산지 직매입, 사전 계약구매, 위탁재배는 물론 이제는 바이어가 직접 경매에 참여할 정도다. 그럼에도 정부나 정치권은 대형마트의 손발을 묶는 데만 혈안이다. 대형마트를 키우는 것이 유통개혁의 출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