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식품산업을 성장동력으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식품·외식 분야는 서로 돕는 상생관계
규제 앞서 차세대 산업으로 바라봐야
정유경 < 세종대 교수·외식경영학 ykchong@sejong.edu >
규제 앞서 차세대 산업으로 바라봐야
정유경 < 세종대 교수·외식경영학 ykchong@sejong.edu >
곧 출범할 박근혜 정부의 정부조직 개편 내용을 보면 과연 식품·외식산업의 이런 구조적 상생 관계를 알고나 있는지 걱정된다. 물론 과거 정부가 잘했다는 것은 아니다. 그동안 식품과 외식산업에 대한 정책은 농림수산식품부, 보건복지부, 문화체육관광부, 지식경제부 등에서 부처별 해당 업무만 관리해 왔다. 여러 부처가 관련되다 보니 의사소통도 잘 안 되고, 국민 혈세가 비효율적으로 운영되는 문제점도 노출됐다. 그래도 ‘외식산업진흥법’과 ‘식품산업진흥법’ 시행을 통해 식품·외식산업에 대한 전망을 밝게 한 것이 사실이다.
ADVERTISEMENT
미국 패스트푸드업체 맥도날드에 프렌치프라이(감자튀김)가 없다면 전 세계 3만여개 맥도날드 매장에 감자를 공급하는 감자 시장은 어떻게 바뀔까. 감자 농사를 짓는 사람만의 문제가 아니다. 식품·외식·노동 시장까지 미국을 넘어 세계의 문제가 된다. 먹거리 시장은 우리 생활 전 분야에 걸치는 국경 없는 시장이다. 그 한계가 어디까지인지도 잘 알 수 없다.
식품의 안전은 기본이다. 식품·외식산업의 발전, 프랜차이즈 개발·수출, 음식문화 계승·교류, 관광상품 개발, 음식물쓰레기 처리에 이르기까지 외식산업과 관련된 중요한 업무를 총괄할 수 있어야 한다. 정부조직 개편에서 이런 기능이 언급조차 되지 않은 것은 안타까운 일이다. 뒤에서 밀어주는 식품산업이나 앞에서 끌어주는 외식산업이 날개를 펼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찾아야 한다.
정유경 < 세종대 교수·외식경영학 ykchong@sejong.edu >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