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에 도달하는 태양에너지는 전체의 22억분의 1에 불과하다고 한다. 그런데도 지구가 1초마다 받는 에너지양이 수소폭탄 1000개 정도이고, 대형 발전소 1억5000만개와 맞먹는다고 하니 태양의 위력을 실감할 수 있다. 인류가 태양 에너지를 어떻게 효율적으로 활용할지 끊임없이 고민해온 이유다. 태양광 발전도 이런 노력의 산물이다.
한걸음 더 나아가 인공 태양을 만들어보려는 단계에까지 이르렀다. 러시아의 안드레이 사하로프와 이고르 박사팀이 도넛 모양의 튜브 안에 고온의 플라즈마 가스를 자기력으로 유도해 가둬놓으면 플라즈마끼리 충돌해 엄청난 에너지를 방출하게 될 것으로 생각한 게 시초다. 하지만 이를 위해선 플라즈마를 가둘 수 있는 자기력과 고온 진공 조건 같은 고난도의 기술과 장치가 필요했다. 무엇보다 너무나 많은 비용이 들었다.
구소련 서기장이었던 고르바초프는 하는 수 없이 1985년 미·소 정상회담에서 선진국들이 공동 참여하는 국제핵융합 프로젝트를 수행하자고 제안했다. 이 구상은 선진국들에 의해 받아들여져 2007년 프랑스 카다라슈에 핵융합로를 건설하기에 이른다. 이 융합로는 플라즈마가 발생된 뒤 10분간 에너지를 생성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본격 가동은 2030년으로 예정돼 있다.
이 프로젝트에 한국이 처음부터 참여하고 있다는 사실은 주목할 만하다. 한국은 1995년부터 핵융합실험로 개발에 들어가 2007년에 초전도핵융합실험장치(KSTAR)를 만들었다. 국제 핵융합로가 플라즈마를 직접 생성하고 에너지를 방출하는 데 비해 KSTAR는 플라즈마를 안전하게 운용하는지 실험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크기도 국제 핵융합로의 25분의 1 정도다.
며칠 전 KSTAR가 5000만도의 고온에서 17초간 플라즈마를 유지하는 데 성공했다고 한다. 4년 전 ‘1초 운용’의 벽을 깨지 못했던 것에 비하면 비약적 발전이다. 물론 미국 일본보다는 뒤처져 있고, 아직은 갈길이 멀다. 하지만 기초과학이 냉대받는 풍토에서 일궈낸 성과라 의미가 적지 않다. 연구진들의 땀과 노력에 응원을 보낸다.
오춘호 논설위원 ohcho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