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4대강사업과 녹조 관련 없다" 文 주장에 반박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국토해양부와 4대강살리기추진본부는 17일 ‘4대강 사업’과 관련, 문재인 민주통합당 대선 후보가 전날 TV토론에서 “과거 낙동강 하구에 발생하던 녹조가 올여름 대구까지 확산됐다”고 수질을 문제 삼은 데 대해 “올해 4대강 사업으로 보를 건설하고 모래작업(준설)을 한 남한강에서는 녹조가 없었다”고 반박했다.
심명필 4대강살리기추진본부장은 또 문 후보가 “4대강 사업 유지 보수에 수조원의 비용이 들어갈 것”이라고 주장한 데 대해 “이미 내년도 4대강 유지 보수를 위해 책정된 예산은 1368억원”이라며 “국가하천 유지관리비는 홍수 피해에 따른 복구비(1조5000억원)에 비하면 크게 적은 수준”이라고 말했다.
심 본부장은 “유례없는 폭염에 따른 수온 상승과 부족한 강수량 등이 녹조 발생에 영향을 미쳤다”며 “수질개선사업 추진, 수량 증가, 하천 경작지(오염원) 정리로 4대강 사업 전(2007~2009년)과 비교해 올해 상반기 생물학적산소요구량(BOD) 등 수질은 전반적으로 개선 추세”라고 설명했다.
권도엽 국토부 장관도 “보의 안전에 문제가 없다”며 “사실과 다르게 알려진 부분은 바로잡을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김진수 기자 true@hankyung.com
심명필 4대강살리기추진본부장은 또 문 후보가 “4대강 사업 유지 보수에 수조원의 비용이 들어갈 것”이라고 주장한 데 대해 “이미 내년도 4대강 유지 보수를 위해 책정된 예산은 1368억원”이라며 “국가하천 유지관리비는 홍수 피해에 따른 복구비(1조5000억원)에 비하면 크게 적은 수준”이라고 말했다.
ADVERTISEMENT
권도엽 국토부 장관도 “보의 안전에 문제가 없다”며 “사실과 다르게 알려진 부분은 바로잡을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김진수 기자 true@hankyung.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