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 중국의 관세전쟁이 격화할 조짐을 보이면서 원·달러 환율이 상승(원화 가치는 하락)했다.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와 중국의 보복관세 발표에 이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재보복을 시사하면서 환율이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약 16년만에 최고치를 다시 갈아치웠다.8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오후 3시30분 기준)은 전날보다 5원40전 오른 1473원20전에 주간 거래를 마쳤다. 이는 지난 2009년 3월13일(1483원50전)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지난달 31일 기록한 비상계엄 이후 최고치(1472원50전)도 다시 경신했다. 이날 환율은 달러당 1471원에 개장했다가 장중 1466원30전까지 떨어지기도 했지만 오후께 반등해 3시 무렵에는 1473원90전까지 오르기도 했다.환율이 오른 것은 미국과 중국의 관세갈등이 격화되고 있어서다. 트럼프 대통령은 간밤 중국이 상호관세와 같은 세율(34%)로 부과하겠다고 발표한 보복관세를 철회하지 않으면, 오는 9일 50% 추가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경고했다.이날 중국 인민은행은 위안화 환율을 달러당 7.2038위안(약 1452원)으로 고시했다. 전날(7.1980위안)에 비해 위안화 가치를 더 낮춘 것으로, 통화 약세를 겨냥한 트럼프 대통령의 지적과 반대로 간 것이다. 중국 상무부는 트럼프 대통령이 추과 관세를 부과하면 반격 조치를 다시 취하겠다고 밝히기도 했다.미국은 트럼프 대통령의 예고대로 지난 5일 세계 모든 국가를 상대로 10% 기본관세를 발효했고, 국가별로 차등을 둔 상호관세는 오는 9일부터 시행할 계획이다. 미국을 비롯한 전 세계 경기 침체 가능성이 점쳐지며 원화를 비롯한 위험 자산 회피 심리가 잦아들지 않고 있다.민경원 우리은행 이코
코스피가 소폭 반등, 2330선을 회복했다. 환율은 주간 종가 기준 금융위기 이래 최고치를 기록했다.8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코스피지수는 전일 대비 6.03포인트(0.26%) 오른 2334.23으로 집계됐다.지수는 전장보다 53.00포인트(2.28%) 오른 2381.2로 출발해 전날 급락분 만회에 나섰다. 하지만 장중 상승폭이 크게 줄면서 강보합에 그쳤다.개인 홀로 6016억원 매수 우위다.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6425억원, 899억원 매도 우위다.유가증권시장에서 대장주인 삼성전자는 0.56% 상승해 5만3500원에 마감했다. SK하이닉스는 2.85% 상승한 16만9500원을 기록했다.주주배정 유상증자 규모를 기존 대비 1조3000억원 축소하기로 한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8.72% 급등했다. 한화오션도 8.32% 올랐다. 마찬가지로 유증 규모를 절반 수준으로 줄인 이수페타시스도 5.58% 뛰었다.코스닥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7.15포인트(1.10%) 오른 658.45로 장을 마쳤다.기관 홀로 1528억원 매수 우위다. 개인과 외국인이 각각 744억원, 733억원매도 우위다. 대장주인 알테오젠은 7%대 급등했다. 에코프로비엠은 2%대 올랐고 에코프로는 보합 가격에 거래를 마쳤다. 4조원대 기술이전 '빅딜'을 따낸 에이비엘바이오는 15% 넘게 상승했다. 원·달러 환율은 올랐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장보다 5.4원 올라 주간 종가(오후 3시30분) 기준 1473.2원을 기록했다. 이는 금융위기 이후 최고치다.신민경 한경닷컴 기자 radio@hankyung.com
※한경 마켓PRO 텔레그램을 구독하시면 프리미엄 투자 콘텐츠를 보다 편리하게 볼 수 있습니다. 텔레그램에서 ‘마켓PRO’를 검색하면 가입할 수 있습니다.국내 투자수익률 상위 1%의 초고수들이 '디렉시온 데일리 세미컨덕터 불 3X'(SOXL) 상장지수펀드(ETF)를 집중 매수했다. 미국 증시 반도체 대표주인 엔비디아는 대거 처분하고 나섰다.8일 미래에셋엠클럽에 따르면 미래에셋증권계좌를 보유한 투자수익률 상위 1%의 초고수들은 간밤 미국 증시에서 SOXL를 가장 많이 매수했다. 미국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 하루 수익률의 세 배를 추종하는 상품으로 최근 5일 사이에 -41.76% 급락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의 관세 정책 불확실성이 부각되면서 패닉 매물이 속출한 영향이다.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는 지난 3일 9.88% 급락한 데 이어 4일에 7.60% 추가 낙하했다. 투자자들의 투매가 잇따르면서 세 배 레버지리 상품의 하락세가 두드러졌다. 지난 7일(현지시간) 미국 증시 패닉 매도세가 다소 진정되면서 4.81% 오르자 고수들이 서둘러 매수한 것으로 풀이된다. 최근의 하락세가 워낙 커 저점 매수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고수들은 2~3배 레버리지 ETF를 집중 매수했다. 순매수 2위에 오른 ETF는 테슬라의 하루 수익률을 두 배 추종하는 ‘디렉시온 데일리 테슬라 불 2X’(TSLL)다. 이날 테슬라(2.56%)가 하락하면서 해딩 ETF도 5% 내리자 고수들이 서둘러 매집한 것으로 관측된다. 테슬라는 이날 고수들의 순매수 4위 종목으로 떠올랐다.순매수 3위는 나스닥100지수의 일간 수익률을 3배 추종하는 '프로셰어즈 울트라프로 QQQ'(TQQQ)로 나타났다. 미국발 관세 전쟁으로 공포에 빠졌던 투자 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