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세금회피 더는 못봐줘" 뿔난 유럽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조세피난처 등 통해 2조원 덜 내…佛·英 등 탈세 조사
법인세율 차이 악용한 MS·스타벅스도 눈총
법인세율 차이 악용한 MS·스타벅스도 눈총
세계 최대 검색업체인 구글도 영국 등의 조세당국에 ‘괘씸죄’로 걸렸다. 스타벅스,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MS)처럼 조세 피난처로 수익을 이전해 세금을 회피해오다 덜미가 잡힌 것이다. 그동안 주요 국가들은 투자 유치 명목으로 이들 다국적 기업의 세금 회피를 눈감아줬다. 하지만 불황 탓에 세수가 턱없이 부족해지자 태도가 돌변, 단속망을 총 가동하고 있다.
○구글, 버뮤다법인 통해 20억달러 회피
블룸버그통신은 “구글이 지난해 세계 각국의 현지 법인을 통해 얻은 수익 98억달러(약 10조6000억원)를 버뮤다 법인으로 이전해 20억달러(약 2조1000억원)에 이르는 세금을 내지 않았다”고 11일 보도했다.
ADVERTISEMENT
이 같은 사실은 구글의 네덜란드 법인이 지난달 제출한 문건에 의해 드러났다. 문건에 따르면 구글이 지난해 미국 이외 지역에서 벌어들인 총 수익 중 납부한 세금은 3.2%였다. 그러나 해외 구글 매출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유럽의 법인세율은 영국이 24.0%, 프랑스가 36.1% 등 훨씬 높은 편이다. 지난해 전체 구글 매출에서 영국 법인은 11%(41억달러)를 차지했다. 하지만 영국 조세당국에 납부한 세금은 600만달러에 불과했다.
구글은 모든 세금 규정을 준수했다고 반박했다. 구글은 이날 성명을 통해 “영국의 경우 2000명 이상의 직원을 고용하고 있고, 수천개의 온라인 사업이 성장하도록 돕고 있다”며 “런던 동부에 수백만달러를 투자해 새로운 정보기술(IT)단지도 짓고 있다”고 강조했다.
ADVERTISEMENT
○다국적 기업 조세회피 더 어려워져
구글이 조세 회피에 활용한 방식은 ‘더블 아이리시(Double Irish)’나 ‘더치 샌드위치(Dutch Sandwich)’라고 불린다. 다국적 기업의 법인세율이 유럽 최저 수준인 아일랜드와 같은 국가에 자회사를 세운 뒤 여러 국가에서 얻은 수익을 로열티·컨설팅 비용 등의 명목으로 이들 자회사에 송금하는 방법이다.
이 같은 방식은 특히 유럽에서 자주 활용된다. 유럽에 진출한 기업들은 EU 회원국 27개국의 어느 나라에든 근거지를 둘 수 있어 특정 국가의 낮은 세율을 이용, 절세할 수 있기 때문이다. 구글과 MS도 유럽 본사를 아일랜드에 두고 있다.
ADVERTISEMENT
하지만 영국을 필두로 한 유럽 각국 정부들은 앞으로 세금 회피를 용납하지 않으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유로존(유로화 사용 17개국) 재정위기로 인해 세수를 늘리려는 목적이 크다. 영국은 지난달 스타벅스·구글·아마존 현지법인 대표들을 의회에 소환, 세금 관련 청문회를 열었다. 프랑스는 아마존이 자국에 설립한 법인에 2억유로(약 2800억원)의 법인세를 추가로 납부할 것을 요구했다.
김동현 기자 3code@hankyung.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