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통합당 장하나 의원은 환경부가 제출한 자료를 분석해보니 전국의 음용 지하수 5곳 가운데 1곳에서 미국의 먹는물 기준치를 넘는 우라늄이나 라돈이 검출된 것으로 나타났다고 4일 밝혔다.

장 의원에 따르면 환경부가 지난해 전국 103개 지방자치단체의 음용 지하수 305개 지점의 자연 방사성물질 함유 실태를 조사한 결과 우라늄이 미국의 먹는물 기준치를 넘은 곳은 전체의 4.9%인 15곳, 라돈은 전체의 15.7%인 48곳이었다.

우라늄이나 라돈 가운데 한 가지라도 기준치를 초과한 지점은 전체의 18.7%인 57곳으로 나타났다.

미국은 먹는물의 우라늄 농도가 30㎍/ℓ, 라돈은 4천pCi/ℓ를 넘지 않도록 기준치를 정해놓고 있다.

논산과 단양의 지하수 200개 지점을 정밀 조사한 결과 우라늄이 기준치의 12.9배 검출된 지하수도 있었다.

이들 자연계에 존재하는 방사성 물질은 인공 방사성 물질과 마찬가지로 사람의 몸에 들어올 경우 여러 피해를 유발한다.

우라늄은 신장에 독성을 미치고 라돈은 폐암이나 위암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는 1998년 대전의 일부 지하수에서 우라늄이 미국 기준치를 넘어 검출되자 이듬해부터 실태조사를 해오고 있다.

그러나 아직 법적 기준치를 마련하지 않고 있다.

장 의원은 "자연 방사성 물질의 인체 위해성이 크다는 사실을 알면서도 기준치조차 마련하지 않은 것은 국민의 건강을 도외시한 환경부의 직무유기"라고 지적했다.

(서울연합뉴스) 김계연 기자 tel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