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다음은 월요일 국어와 사회, 수학 시험을 위해 철수가 주말에 공부할 경우 얻게 되는 점수표이다. 주말 9시간이 주어졌을 때 가장 효율적으로 시간을 할애한 것은?

ADVERTISEMENT


해설

한계효용의 개념을 묻는 문제다. 소비자들은 재화와 서비스를 소비할 때 1단위를 더 소비할 때 주관적인 만족도인 효용이 어느 정도 추가적으로 늘어나느냐를 고려한다. 철수가 국어, 사회, 수학 공부를 어느 정도 할 것인지 결정할 때도 1시간을 공부에 더 쓸 때마다 어느 과목에서 점수가 더 많이 오르느냐를 따질 것이다. 처음 1시간은 15점이 오르는 국어, 2번째 시간도 18점이 오르는 국어, 3번째 시간은 15점이 오르는 수학을 선택할 것이다. 이 과정을 거치면 국어 4시간, 사회 3시간, 수학 2시간이 가장 효율적인 선택이다.

정답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