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과학자 '美 원자력 최고 논문상'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美노스캐롤라이나대 이경욱 박사
미국에서 연구 활동을 하고 있는 한국인 과학자가 원자력 분야의 세계 최대 규모 학회에서 ‘최고논문상’ 수상자로 선정됐다.
5일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립대(NCSU)는 “박사후 과정을 밟고 있는 이경욱 박사(38·사진)의 논문 ‘페블베드 원자로(PBR)의 분자동역학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입자추적’이 미국원자력학회(ANS)의 올해 ‘마크 밀스 상(Mark Mils Award)’ 수상작으로 선정됐다”고 밝혔다.
미국의 저명한 핵 물리학자인 마크 밀스(1917~1958)의 이름을 딴 이 상은 ANS가 선정하는 20여종의 학술상 가운데 가장 역사가 오래된 대표적인 논문상으로, 원자핵연구 분야에서 학술적 공헌을 한 과학자에게 주어진다. 특히 이 박사는 1959년 마크 밀스상이 제정된 이후 이 상을 받은 전 세계 과학자 54명 가운데 한국인으로는 1972년 강창무 박사 이후 두 번째다.
원자력 분야에서 최고 권위의 학술지로 꼽히는 ‘뉴클리어 사이언스 앤드 엔지니어링(NSE)’에도 게재될 이 논문은 차세대 원자로인 페블베드 원자로의 운용 시스템을 입자 추적을 통해 규명하는 방식을 담고 있다.
연합뉴스
5일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립대(NCSU)는 “박사후 과정을 밟고 있는 이경욱 박사(38·사진)의 논문 ‘페블베드 원자로(PBR)의 분자동역학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입자추적’이 미국원자력학회(ANS)의 올해 ‘마크 밀스 상(Mark Mils Award)’ 수상작으로 선정됐다”고 밝혔다.
ADVERTISEMENT
원자력 분야에서 최고 권위의 학술지로 꼽히는 ‘뉴클리어 사이언스 앤드 엔지니어링(NSE)’에도 게재될 이 논문은 차세대 원자로인 페블베드 원자로의 운용 시스템을 입자 추적을 통해 규명하는 방식을 담고 있다.
연합뉴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