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당국이 지난 4월부터 전문의약품 가격을 일괄 인하하면서 제약사들의 영업이익이 크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하지만, 하반기에도 경영 환경이 개선될 기미가 보이지 않다는 점에서 제약사들의 고민은 깊어지고 있습니다. 양재준 기자가 보도합니다. 2분기 제약사들에게 약가 인하가 준 충격은 컸습니다. 대형 제약사 가운데 녹십자를 제외하고 영업이익이 지난해 2분기보다 늘어난 곳은 단 한 곳도 없었습니다. 동아제약의 경우 2분기 매출액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9.8% 증가했지만, 영업이익은 반토막이 났습니다. 유한양행도 2분기 매출액이 전년 같은 기간보다 17.8% 늘었지만, 영업이익의 경우 60%이상 줄었습니다. 대웅제약은 2분기 매출액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4% 감소한 가운데 영업이익은 무려 95%나 급감한 11억원에 그쳤습니다. 상위 제약사들 뿐 아니라 중견 제약사들 역시 약가 인하 폭풍을 벗어나지 못했습니다. LG생명과학은 2분기 매출액이 7.3% 증가한 951억원을 기록했지만, 영업이익은 16억원으로 37.7% 줄었습니다. 종근당도 2분기 매출액이 전년 같은 기간보다 6% 늘어났지만, 영업이익은 17.3% 감소한 174억원을 나타냈습니다. 일동제약의 경우 2분기 매출액이 9.8% 늘어났지만, 영업이익은 45.7%나 급감했습니다. 문제는 2분기 `어닝 쇼크`를 기록한 제약사들의 실적이 하반기에도 개선되기는 어렵다는데 있습니다. 다국적 제약사의 신약을 도입하거나 공동 마케팅 등으로 매출액은 늘어날 수 있지만, 약가 인하에 따른 이익 감소는 회복되기 어렵습니다. 김현욱 IBK투자증권 연구위원 "3분기에도 2분기에 이어 약가 인하로 인한 외형 성장은 대체적으로 제한될 것으로 예상되나, 수익성 부문에서는 업체별 비즈니스 모델에 따라 차이가 클 것으로 전망됩니다." 본격적인 약가 인하로 실적이 크게 나빠진 제약사들에게 있어 하반기는 살아남기 위한 시간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한국경제TV 양재준입니다. 양재준기자 jjyang@wowtv.co.kr 한국경제TV 핫뉴스 ㆍ왕따 소녀, 미국 10대 미인대회 우승 화제 ㆍ멈춰버린 롤러코스터, 탑승객 구하기 생생영상 ㆍ버스 좌석 뜯어먹는 엽기男 공개수배 ㆍ제시카, 시선 붙잡는 `아찔한 뒤태~` ㆍ길 정준하 선물 받고 울상? “처음 신어서 그런 거겠죠? 곧 지워지겠죠?”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양재준기자 jjyang@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