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년 7월 사회적기업육성법 시행 이후 50곳에 불과하던 사회적기업은 현재 680곳으로 늘어났다. 예비 사회적기업도 1340여곳에 이른다. 사회적기업에 종사하는 근로자 수는 6배 이상, 사회 서비스를 받고 있는 수혜자는 251배 증가했다. 이런 성과는 세계 경제가 위기를 겪으면서 소득 불균형에 따른 계층 간 갈등과 대립이 심화하는 시대 상황을 반영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시장경제 체제에서 발생하는 소외와 불균형 등을 해소하기 위해 경제적 이익과 사회적 가치를 동시에 추구하면서 사회문제를 해결할 대안으로 주목하게 된 것이 사회적기업이다. 사회적기업은 세계적인 트렌드다. 한국도 양극화 후유증을 해소하고 늘어나는 복지 욕구를 충족하기 위해 교육, 보건, 복지 등 다양한 사회 서비스를 제공해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있다.

지속 가능한 사회적기업을 위해서는 사회적기업이 활동할 수 있는 사회적경제 생태계를 형성할 필요가 있다. 첫째, 사회적기업이 가지고 있는 내부 자원을 활용해 핵심 역량을 만들 수 있어야 한다. 사회적기업의 가장 중요한 자원은 사람, 즉 사회적 기업가를 양성하는 데 주안점을 둬야 한다. 둘째, 비즈니스 모델을 구축하기 위한 지역 특성을 잘 알아야 한다. 셋째, 내적 역량과 외부 수요를 파악해 경쟁 우위를 확보할 수 있도록 경영 전략을 세워야 한다. 마지막으로, 종교계와 시민사회 등 다양한 민간 자원과 가치 네트워크를 형성해야 한다.

사회적기업은 전체 근로자의 60%가 취약계층인 점을 감안할 때 일반 기업에 비해 경쟁력을 높이기가 어렵다. 따라서 사회적기업에 대해서는 민간 자원의 연계 지원이 필요하다. 특히 사회적기업은 지역사회의 수요에 기초해 경쟁 우위를 갖춰야 하기 때문에 지역 민간 자원들과 효과적으로 연계해 기업을 성장·발전시킬 필요가 있다.

최근 기업의 사회공헌 활동 부문에서 주목받고 있는 개념이 공유가치 창출(CSV)이다. 기업도 스스로 존재 의의와 미션을 정립하고 자사가 추구하는 경영전략에 맞추면서도 주요 이해관계자와 함께 더 높은 삶의 질을 구현할 수 있도록 공유가치를 창출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최근 우리 기업들도 단순 기부에서 벗어나 사회적기업에 경영 역량을 전수하거나 투자 및 업무 협력 쪽으로 지원 방향을 바꾸고 있다.

공공기관은 법에 따라 독점적 지위를 부여받거나 국가로부터 사업을 위임받았기 때문에 본업 수행 외에 사회적 책임에 대한 의무도 동시에 갖는다. 따라서 공공기관이 사회적기업과 연계해 사회적기업을 설립한다면 공동체 의식을 공유할 수 있다.

사회적기업이 경쟁력을 갖추지 못하면 일자리 창출과 사회 서비스 제공을 할 수 없다. 사회적기업의 경쟁력은 경영 노하우와 판로 개척이 핵심이다. 사회적기업이 경영 노하우와 판로 개척을 독자적으로 수행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민간 기업과 공공기관이 사회적기업과 연계 관계를 형성한다면 사회적기업의 성장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이 ‘1사 1사회적기업 캠페인’과 ‘민관 네트워크’를 통해 사회적기업과 민간 자원을 이어줌으로써 사회적기업이 활성화하도록 하고 있는 것도 이 같은 이유에서다.

김재구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