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한 투자자문사 운용역인 A씨는 저평가 매력이 돋보이는 중국 기업들을 살펴보기 위해 현지 기업 탐방을 추진했다. 그는 중국기업들이 회계 부정 등 불확실성에 대한 시장의 우려가 큰 만큼 생산하는 제품이 판매되는 총판 등을 방문해 정확한 영업환경을 파악하려고 했다.

하지만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기 어려워 애를 먹었다. 그는 회사 측에 문의해 제품을 판매하는 매출처(총판) 등의 정확한 주소를 알려달라고 했지만 회사 측에서는 영업기밀상 알려줄 수 없다는 답을 전달해 왔다. 결국 A씨는 회계 불확실성에 대한 의구심이 해소되지 않아 중국기업에 대한 투자를 유보했다.

국내 증시에 상장된 중국 기업들이 '불신의 늪'에서 빠져나오지 못하고 있다.

특히 과거 중국원양자원의 원양어선 사진 조작 루머 등으로 인해 촉발된 중국 기업의 실체에 대한 시장의 의구심이 계속되는 상황에서 주요 매출처에 대한 정확한 위치 마저 영업기밀이라는 이유로 밝히지 않아 '차이나 디스카우트' 심화를 자초하고 있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16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건강식품 전문 기업으로 알려진 차이나킹은 지난 12일 자회사인 복건영생활력생물공정유한공사가 교작남십자의약체인점유한공사 등 7개 판매 대리상과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공시했다.

이에 따라 차이나킹의 대리상 총수는 지난 1분기 보고서에 기재된 30개에서 7개가 신규로 추가되면서 37개로 늘었다.

하지만 새롭게 추가된 대리상의 정확한 주소에 대해서 회사 측은 "경쟁사와의 관계를 고려해 영업기밀상 알려줄 수 없다"는 답을 내놨다.

일반적으로 식품 판매 업체의 경우 고객들의 접근성을 쉽게 하기 위해 판매점 등의 현황을 공개하는 것과는 전혀 다른 행태의 영업방식이다.

아울러 이런 상황은 비단 차이나킹만 뿐만이 아니다. 스포츠브랜드를 판매하는 이스트아시아홀딩스, 차이나그레이트등 다른 중국기업들도 제품이 판매되는 총판에 대해서는 영업 기밀을 이유로 정확한 위치에 대해 함구하고 있다.

차이나킹의 기업공개(IPO)를 주관하며 실사에 나섰던 주관 증권사의 경우도 해당 유통 판매점의 위치 등 주소록을 보유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차이나킹의 상장을 주관했던 우리투자증권 한 관계자는 "전수 조사가 아닌 일부 판매점을 방문해 해당 업체의 유무를 확인했다"면서 "다른 총판에 대해서는 정확한 주소를 파악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中 상장사, 판매처 주소가 영업기밀?…커지는 차이나 디스카운트
우리투자증권이 방문한 곳은 중국 복건성에 위치한 복주시진보건품유한공사로 이 대리상의 경우 상장 당시 보고됐던 다른 매출처 중에서 가장 비중이 작은 곳이다. 이 곳의 2008년 7월부터 2009년 6월까지의 매출액은 10억1300만원(563만7020위안)에 불과하다.

통상적으로 모든 매출처에 대해 전수조사는 못하더라도 매출 비중이 큰 곳을 우선 실사하는 일반적인 조사 방식과도 차이가 난다.

다른 영업점을 방문하지 않은 이유에 대해서 이 관계자는 "복건성과 멀리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어 지리적인 여건상 방문하지 못했다"고 해명했다.

아울러 상장 당시 차이나킹 측에 해당 매출처의 정확한 위치 등을 요구했으나 회사 측에서 영업 기밀을 이유로 자료 공개를 꺼렸다는 답을 내놨다.

이 관계자는 "해당 매출처(총판)의 경우 대부분 개인 법인 회사이며 차이나킹 제품 만을 취급하는 곳이 아니기 때문에 정보가 많이 노출되면 세무 조사 등의 우려가 있어 관련 매출처의 사장들이 공개를 꺼린다"고 말했다.

매출처의 정확한 주소를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은 한국거래소 측도 마찬가지다.

한국거래소 관계자는 "회사에서 공급계약 관련 공시 등을 할 때 계약과 관련된 사항에 대해 계약서 등을 보내온다"면서 "회사 측이 영업기밀을 이유로 세부적인 주소 공개를 꺼리고 있어 밝힐 수는 없지만 어느 성에 위치한 곳인지 정도는 파악하고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차이나 디스카운트로 인해 국내 증시에서 소외되고 있는 중국 기업의 이런 기업 설명 방식은 문제가 있다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한 증권업계 관계자는 "주식시장에서 중국 기업에 대한 불신이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투자자들이 의심을 가질만한 정보에 대해 공개하지 않는 것은 또다른 불신을 초래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한경닷컴 최성남 기자 sula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