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득 檢소환ㆍ민간인 사찰 국조 등 곳곳 `암초'

청와대의 분위기가 무겁게 가라앉았다.

이명박 대통령의 국정 운영에 부담을 줄 악재들이 한꺼번에 터져 나온 29일 청와대 곳곳에서 침울한 기류가 감지됐다.

이 대통령의 형인 이상득 전 의원의 검찰 소환, 국무총리실의 민간인 사찰의혹을 풀기 위한 국회의 국정조사 합의 소식, 한일정보보호협정의 밀실 체결 논란 등이 동시다발로 불거지자 곤혹감을 감추지 못하는 상황이다.

이 대통령이 중남미 순방을 위해 12일간 국내에서 자리를 비웠을 땐 큰일이 없다가 이 대통령의 귀국 다음날 단 하루만에 정국이 급반전한 상황이다.

청와대는 이 같은 문제들에 대해 현재로선 뾰족한 해법이 없다는 점을 답답해하고 있다.

청와대나 이 대통령의 침묵이 길어지는 것도 이 때문이다.

청와대는 공식 반응을 자제한 채 "지켜보자"는 말만 되풀이하고 있다.

가장 심각하게 받아들이는 문제는 이상득 전 의원의 검찰 소환이다.

이 대통령의 친형으로 여권에서 차지하는 정치적 비중을 고려할 때 만의 하나 검찰 수사 결과가 좋지않게 나올 경우 그 충격파가 지대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이 전 의원의 소환은 모양새가 나쁜 것뿐 아니라 보통 문제가 아닌 것 같다"면서 "여러모로 힘든 시기를 맞았다"고 털어놓았다.

다른 핵심관계자는 "다소 놀랍고 걱정되는 건 당연하다"면서 "지금으로선 검찰 수사를 지켜보는 것 외에 할 수 있는 일이 없다"고 말했다.

청와대 일각에선 결과 여부를 떠나 이 전 의원 문제를 빨리 털고 가는 게 좋다는 의견도 나온다.

청와대는 민간인 사찰 의혹과 관련, 새누리당이 민주통합당의 국회 국정조사 요구를 수용한 데 대해서도 당혹감 속에 말을 아끼고 있다.

한 핵심참모는 "국회에서 한 일에 대해 코멘트하기 어렵다"고만 했다.

한일 정보보호협정 밀실 처리 논란도 만만치 않은 악재다.

협정 내용이 문제가 되기보다는 과거 한미 쇠고기 협상 때처럼 또 한 번 절차상 허점을 드러내 불필요한 공세의 빌미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책임 문제가 불거질 소지가 있다.

주무 부처인 외교통상부 내부에서는 벌써 `청와대 주도설', `청와대 책임론'이 흘러나오는 등 임기말 레임덕(권력누수) 현상이 나타난다는 지적도 있다.

이 대통령이 이날 협정문에 서명하면 한일 외교 당국이 협정을 공식 체결하게 되지만, 청와대는 아직 서명 일정에 대해 특별히 계획을 밝히지 않고 있다.

(서울연합뉴스) 이승우 기자 lesli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