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매도란 주식을 갖고 있지 않은 투자자가 다른 투자자로부터 주식을 빌려 미리 매도하는 전략을 말한다. 이후 주가가 떨어지면 다시 사서 차익을 얻는다.

공매도 전략은 최근 급락장에서 논란의 대상이 됐다. 셀트리온과 LG전자, OCI 등 공매도가 몰린 종목들의 주가가 추락했고, 일부에서 공매도 투자자들을 시장 급락의 주범으로 지목했기 때문이다. 공매도 투자자들이 주가를 추가로 떨어뜨리기 위해 악성 루머를 유포했다는 의혹도 나왔다.

ADVERTISEMENT

김석동 금융위원장은 지난달 26일 “공매도로 인해 시장이 흔들리는 일이 없도록 하겠다”며 시장에 강력한 경고를 보냈다. 투자자들이 공매도 포지션을 당국에 보고하도록 하는 한편 나아가 공매도 거래내역을 공시하게끔 하는 방안도 추진하고 있다. 코스피지수 급락이 다소 진정되면서 급증하던 공매도는 한풀 꺾였다. 하지만 공매도의 역할을 어떻게 볼 것인가는 여전히 논란거리다. 규제 움직임에 찬성하는 측에서는 국내 시장의 특수한 현실을 강조한다. 외국인의 시장 영향력을 감안할 때 인위적인 시장 교란을 막기 어렵다는 주장이다. 주로 개인투자자들이 공감을 표시한다.

학계와 업계는 이보다 신중한 편이다. 공매도는 투자전략의 일부일 뿐, 주가 하락의 주범은 아니라는 주장이다. 급락장마다 불거져 나오는 ‘공매도 규제론’은 실익이 없다는 논리도 펼친다.

기업 구조조정·사모투자펀드 전문회사인 서울인베스트의 박윤배 대표는 주주 운동 경험을 토대로 ‘공매도 규제론’을 펼쳤다. 공매도 정책을 실증적으로 연구해온 김준석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은 “지나친 규제는 바람직하지 않다”고 주장했다.

김유미 기자 warmfron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