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 노사가 올해 임금협상과 함께 시작한 비정규직의 정규직화를 위한 대화 명칭이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다.

노조는 이번 대화가 '특별교섭', 회사는 '특별협의'라고 주장하고 있기 때문이다.

16일 현대차 노사에 따르면 비정규직의 정규직화를 위한 노사대화는 15일 울산공장에서 처음 시작됐다.

이는 현대차 노사대표뿐만 아니라 사내하청 노사대표, 금속노조가 참여하는 5자간 대화로 이뤄진다.

첫 상견례부터 노사대화의 명칭을 둘러싸고 신경전이 연출됐다.

노조는 "불법파견 특별교섭인데도 사측이 특별협의라고 주장하는 것은 사내하청의 문제로만 접근하려는 때문이다"며 "사측의 시각이 대단히 우려스럽다"고 지적했다.

노조는 이를 두고 "사측의 비뚤어진 비정규직 문제의식 탓에 이후 교섭에서 많은 진통이 있을 것이다"고 예상했다.

문용문 노조위원장(현대자동차지부장)은 "이번 특별교섭을 통해 정규직과 비정규직 노동자가 함께 살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해 무너진 신뢰를 회복해야 할 것이다"며 "우선 실무논의를 통해 비정규직지회(비정규직노조) 간부의 사내출입 등 자유로운 노조활동을 보장하라"고 말했다.

특별교섭은 현대차 노사가 매년 진행하는 노사협상 수준의 격상된 대화단위이며, 이에 비해 특별협의는 교섭보다는 한 단계 낮은 의미로 의견을 조율해 협의하는 단계라는 것이 일반적인 해석이다.

현대차가 이번 노사대화의 성격을 특별협의로 보는 것은 현대차 직원, 조합원 권익향상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사안을 놓고 논의할 때만 교섭이라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윤갑한 현대차 대표이사는 특별협의에서 2010년 울산공장 사내하청노조(비정규직노조)가 1공장을 점거한 불법파업에 대해 유감을 표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윤 대표이사는 이어 다른 사업장의 파장을 고려, 시간을 두고 이번 교섭을 진행하자고 요청한 것으로 전해졌다.

(울산연합뉴스) 장영은 기자 young@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