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기문 중소기업중앙회 회장(사진)은 13일 “1970~1990년대 인기 있었던 근로자재산형성저축(이하 재형저축)을 부활시켜야 한다”고 정부에 건의했다. 또 최근 동반성장위원회가 발표한 대기업 동반성장지수와 관련, “지수 산정 방식에 일부 대기업의 불만이 있는 만큼 수정이 불가피해 보인다”고 말했다.

김 회장은 중기중앙회 창립 50주년(14일)을 앞두고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이같이 말했다.

ADVERTISEMENT

재형저축은 저소득 근로자의 재산형성을 돕기 위해 1976년 도입된 금융상품으로, 시중금리보다 높은 예금금리에 이자소득세 면제, 저축 소득공제, 아파트 당첨권 부여 등 다양한 혜택이 주어져 당시 회사 입사 후 반드시 가입해야 할 ‘신입사원 1호 통장’으로 불렸다.

김 회장은 “중소기업이 기술력을 갖고 세계 시장에서 경쟁하려면 우수 인력들이 모여야 하는데 학생들이 마이스터고나 특성화고를 나와도 대부분 대기업으로 간다”며 “중소기업들이 인력을 유치할 수 있는 실질적인 지원 방안들이 나와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재형저축같이 실질적 혜택을 주는 지원책을 준다면 우수한 인력을 유치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 회장은 지난 10일 대기업 56곳을 대상으로 한 동반성장지수 발표 후 대기업들이 반발하고 있는 것과 관련, “업황 등을 고려해야 한다는 대기업 쪽의 지적에 일리가 있다”면서 “지수산정방식 등을 손질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업황이 좋은 곳은 협력 중소기업에 좀 후할 수 있고, 조선업처럼 나쁜 곳은 안 좋을 수 있는데 그런 상황을 고려하는 게 맞다”고 부연했다.

ADVERTISEMENT

이와 관련, 중기중앙회 관계자는 “업황을 고려하는 것은 물론 동반성장지수 발표대상 기업을 올해 74곳(지난해 대상은 56곳)에서 100곳 가까이 늘리고, 설문대상도 1차 협력기업 중심에서 2, 3차 협력기업으로 대폭 확대하는 방안도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 재형저축

ADVERTISEMENT

정부가 저소득층 근로자의 목돈 마련을 돕기 위해 1976년 도입했다. 이자소득세 면제와 장려금 지급을 통해 당시 월급 60만원 이하인 근로자에게 연 14~16.5%(3년제 23.2%, 5년제 27.2%)의 고금리를 보장해줬으나 재원 부족으로 1995년 폐지됐다.


박수진 기자 psj@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