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동의 적 '슈퍼차이나'…손 꼭 잡은 美·日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양국 3년 만에 정상회담…군사동맹 강화
해양·우주·사이버 안보위협 전방위 대처
해양·우주·사이버 안보위협 전방위 대처
미국과 일본이 중국에 대한 견제 수위를 높이고 있다. 경제 안보 우주 등 압박 경로도 전방위적이다. 미국 워싱턴에서 열린 미·일 정상회담에서도 최대 화두는 중국이었다. 급부상한 중국과 이를 억제하려는 미국과 일본. 3국의 치열한 신경전으로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긴장감이 갈수록 높아지는 분위기다.
◆중국의 대두, 가까워지는 미·일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과 노다 요시히코(野田佳彦) 일본 총리는 지난달 30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백악관에서 정상회담을 갖고 중국을 겨냥한 양국 간 군사적 동맹 방안을 논의했다. 미·일 정상회담은 2009년 일본 민주당 정권 출범 이후 이번이 처음이다.
양국의 군사동맹 내용은 공동성명에 삽입된 ‘동적 방위력 구축’이라는 문구에 집약됐다. 일본 오키나와(沖繩)와 난세이(南西)제도를 중심으로 미·일 양국 군의 기동성을 높이겠다는 전략이다. 해양 진출을 위해 활발하게 움직이고 있는 중국을 겨냥한 조치로 해석된다.
중국을 견제하기 위한 미국과 일본의 군사적 움직임은 정상회담 이전부터 활발하게 진행됐다. 지난달 말 발표된 주일미군 재편 계획이 대표적이다. 여기엔 오키나와에 주둔 중인 미 해병대 1만9000명 가운데 9000명을 괌 하와이 호주 등으로 분산한다는 내용이 포함됐다. 괌을 전략적 허브로 구축, 아·태 지역에서 미·일 양국의 공동 훈련과 감시체제를 강화한다는 뜻이다. 일본 자위대의 주둔 지역도 확대될 조짐이다. 중국의 군사력 확대를 두려워하는 미국과 자위대의 해외 활동 강화를 노리는 일본의 전략이 맞아떨어진 결과다.
미·일 양국은 정상회담을 통해 새로운 안보 위협으로 떠오른 우주 분야에서도 상호 긴밀하게 협력하기로 합의했다. 중국의 적극적인 우주개발 전략에 공동으로 대응하겠다는 의도다. 사이버테러에 대해서도 한목소리를 냈다. 일본은 지난해 미쓰비시중공업 등 주요 방위산업체가 줄줄이 해킹을 당하는 사고를 겪었다. 당시 일부에서는 중국의 조직적 사이버테러 우려가 제기되기도 했다. ◆“아시아 지역에 우군을 늘려라”
미·일 양국은 최근 들어 독자적인 중국 견제 방안도 속속 내놓고 있다. 미국은 지난달 30일 워싱턴에서 필리핀 국무·국방장관과 회담을 열고 필리핀 주둔 미군을 늘리기로 합의했다. 중국과 영유권 분쟁을 빚고 있는 필리핀을 미국의 우군으로 끌어들이기 위한 조치다. 지난주엔 미국과 필리핀 양국이 필리핀 인근 해역에서 대규모 합동 군사훈련도 실시했다. 뉴욕타임스는 “미국은 미리 예정됐던 연례 행사에 불과하다고 주장하지만 액면 그대로 받아들이기는 어렵다”며 “남중국해에서 병력을 대폭 증강하고 있는 중국을 감안한 훈련으로 보인다”고 해석했다.
일본도 발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산케이신문은 최근 “일본 정부가 베트남 필리핀 말레이시아 등 3개국에 공적개발원조(ODA) 형식으로 경비정을 제공해 해양 안보 기능을 높이도록 지원키로 했다”고 전했다. 베트남 등 3국은 모두 중국과 영토 문제로 갈등을 빚고 있는 나라다.
경제 분야에서도 중국을 향한 견제구가 늘고 있다. 미국은 일본 뉴질랜드 싱가포르 등 아·태 지역 국가를 하나로 묶는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을 추진 중이다. 중국의 경제적 확장을 저지하겠다는 노림수다. 일본은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평가받고 있는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 분야에서 미국과 손잡고 중국의 독자적 GPS 구축 움직임에 대응하기로 했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2009년 일본 민주당 정권 출범 이후 소원했던 미·일 관계가 중국을 계기로 개선되고 있다”고 전했다.
도쿄=안재석 특파원 yagoo@hankyung.com
◆중국의 대두, 가까워지는 미·일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과 노다 요시히코(野田佳彦) 일본 총리는 지난달 30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백악관에서 정상회담을 갖고 중국을 겨냥한 양국 간 군사적 동맹 방안을 논의했다. 미·일 정상회담은 2009년 일본 민주당 정권 출범 이후 이번이 처음이다.
양국의 군사동맹 내용은 공동성명에 삽입된 ‘동적 방위력 구축’이라는 문구에 집약됐다. 일본 오키나와(沖繩)와 난세이(南西)제도를 중심으로 미·일 양국 군의 기동성을 높이겠다는 전략이다. 해양 진출을 위해 활발하게 움직이고 있는 중국을 겨냥한 조치로 해석된다.
중국을 견제하기 위한 미국과 일본의 군사적 움직임은 정상회담 이전부터 활발하게 진행됐다. 지난달 말 발표된 주일미군 재편 계획이 대표적이다. 여기엔 오키나와에 주둔 중인 미 해병대 1만9000명 가운데 9000명을 괌 하와이 호주 등으로 분산한다는 내용이 포함됐다. 괌을 전략적 허브로 구축, 아·태 지역에서 미·일 양국의 공동 훈련과 감시체제를 강화한다는 뜻이다. 일본 자위대의 주둔 지역도 확대될 조짐이다. 중국의 군사력 확대를 두려워하는 미국과 자위대의 해외 활동 강화를 노리는 일본의 전략이 맞아떨어진 결과다.
미·일 양국은 정상회담을 통해 새로운 안보 위협으로 떠오른 우주 분야에서도 상호 긴밀하게 협력하기로 합의했다. 중국의 적극적인 우주개발 전략에 공동으로 대응하겠다는 의도다. 사이버테러에 대해서도 한목소리를 냈다. 일본은 지난해 미쓰비시중공업 등 주요 방위산업체가 줄줄이 해킹을 당하는 사고를 겪었다. 당시 일부에서는 중국의 조직적 사이버테러 우려가 제기되기도 했다. ◆“아시아 지역에 우군을 늘려라”
미·일 양국은 최근 들어 독자적인 중국 견제 방안도 속속 내놓고 있다. 미국은 지난달 30일 워싱턴에서 필리핀 국무·국방장관과 회담을 열고 필리핀 주둔 미군을 늘리기로 합의했다. 중국과 영유권 분쟁을 빚고 있는 필리핀을 미국의 우군으로 끌어들이기 위한 조치다. 지난주엔 미국과 필리핀 양국이 필리핀 인근 해역에서 대규모 합동 군사훈련도 실시했다. 뉴욕타임스는 “미국은 미리 예정됐던 연례 행사에 불과하다고 주장하지만 액면 그대로 받아들이기는 어렵다”며 “남중국해에서 병력을 대폭 증강하고 있는 중국을 감안한 훈련으로 보인다”고 해석했다.
일본도 발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산케이신문은 최근 “일본 정부가 베트남 필리핀 말레이시아 등 3개국에 공적개발원조(ODA) 형식으로 경비정을 제공해 해양 안보 기능을 높이도록 지원키로 했다”고 전했다. 베트남 등 3국은 모두 중국과 영토 문제로 갈등을 빚고 있는 나라다.
경제 분야에서도 중국을 향한 견제구가 늘고 있다. 미국은 일본 뉴질랜드 싱가포르 등 아·태 지역 국가를 하나로 묶는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을 추진 중이다. 중국의 경제적 확장을 저지하겠다는 노림수다. 일본은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평가받고 있는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 분야에서 미국과 손잡고 중국의 독자적 GPS 구축 움직임에 대응하기로 했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2009년 일본 민주당 정권 출범 이후 소원했던 미·일 관계가 중국을 계기로 개선되고 있다”고 전했다.
도쿄=안재석 특파원 yag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