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무장관·중앙銀총재 회의 "유가급등시 추가 조치"
한국도 150억달러 출연

한국을 비롯한 주요 20개국(G20)은 20일(현지시간) 글로벌 금융위기 차단을 위해 국제통화기금(IMF) 재원을 4천300억달러 이상 확충하기로 합의했다.

크리스틴 라가르드 IMF 총재는 이날 워싱턴DC에서 열린 G20 재무장관ㆍ중앙은행총재 회의 이후 열린 기자회견에서 "총 4천300만달러 규모의 재원확충 약속을 확보했다"고 밝혔다.

이번 IMF 재원 확충에는 최근 재정위기 우려가 커지고 있는 유로존 국가들이 가장 많은 2천억달러를 내놓기로 했으며, 일본도 600억달러 규모로 참여키로 했다.

한국도 이날 영국, 호주, 싱가포르 등과 함께 총 410억달러 규모로 참여한다는 공동성명을 발표했다.

특히 한국과 영국의 지원 규모는 각각 150억달러로, 구체적인 참여 액수를 발표한 국가들 가운데 유로존과 일본에 이어 3번째 규모다.

스웨덴과 덴마크, 노르웨이, 폴란드, 스위스 등도 총 260억달러를 지원키로 했으며, 중국과 러시아도 다른 나라들과 함께 총 720억달러를 보태기로 합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재원확충 방식은 지난 2월 G20 재무장관회의 합의에 따라 IMF와 지원국간 단기 양자차입 또는 채권인수 협약을 통해 추진되며, 필요한 경우 조기 상환을 요구할 수 있는 권한을 주기로 했다.

그러나 브라질 등이 요구한 IMF 쿼터와 지배구조 개혁에 대해서는 지속적으로 노력하자는 원론적인 내용에만 합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와 관련, 박재완 기획재정부 장관은 회의 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유럽과 일본 이후 추가로 참여하는 국가가 없었으나 한국이 나서면서 분수령 역할을 했다"면서 "특히 싱가포르와 호주 등 아태국가들이 동참하면서 전세계적인 참여라는 점에도 기여했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G20 회원국들은 이번 회의에서 최근 세계 경제상황에 대해 "극단적인 위험이 발생할 가능성이 약화하는 등 여건이 개선되고 있으나 하방 위험이 여전히 크다"고 평가했다.

아울러 여러 국가가 높은 실업률을 보이고 있다는 데 공감하고 G20의 거시 공조체제가 고용창출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협의키로 했으며, 금융규제 개혁조치도 애초 계획에 따라 성실하게 이행하기로 했다.

또 고유가 문제와 관련, 충분한 공급을 보장키로 한 최근 산유국들의 약속을 환영하는 한편 국제유가 급등과 같은 상황이 발생하면 추가적인 조치를 취할 준비가 돼 있다는 의지를 밝혔다.

글로벌 경제·금융 안정을 위한 IMF의 역할과 관련, 회원국들은 환율정책뿐 아니라 재정, 통화, 금융정책, 글로벌 유동성, 자본이동 등과 관련된 전반적인 감시기능을 부여하자는 데도 의견을 같이했다.

이밖에 한국을 비롯해 멕시코, 프랑스, 독일, 중국, 호주, 남아공 등은 내년 출범하는 녹색기후기금(GCF)의 구축 지원을 위한 스터디그룹을 구성하자는 데 뜻을 모았다.

이번 회의에는 G20 회원국을 비롯해 스페인, 칠레, 콜롬비아, 캄보디아, 베넹 등 초청국 재무장관 및 중앙은행 총재들과 IMF,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세계은행(WB) 등의 수장들이 대거 참석했으며, 한국에서는 박재완 장관, 김중수 한국은행 총재가 대표 자격으로 자리를 함께했다.

(워싱턴연합뉴스) 이승관 특파원 human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