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26 중앙선거관리위원회 디도스(DDoS) 공격, 4·12 농협전산망 해킹, 3·4 청와대·국정원 디도스 공격…. 지난해에는 유독 굵직한 사이버보안 사고가 많았다. 단순한 전산사고가 아니라 정치적 파장을 불러일으킨 사이버범죄도 적지 않았다.

사이버범죄의 유형이 다양해지고 파급력이 커지면서 경찰은 물론 검찰과 국정원 등 다른 사법기관들도 사이버범죄에 적극 대응하고 있다.

ADVERTISEMENT

대표적인 곳이 서울중앙지검 첨단범죄수사2부. 1998년 컴퓨터수사부가 2004년 첨단범죄수사부로 개칭한 뒤 2009년 첨단범죄수사 1, 2부로 나뉘었다.

사이버범죄는 첨단범죄수사2부에서 전담한다. 김봉석 첨단범죄수사2부장은 “예전에는 개인적인 우월감을 드러내려고 전문 해커들이 범죄를 저지르는 경우가 많았다”며 “최근에는 뚜렷한 정치적 목적을 가지고 해킹을 시도하는 경우가 잦아졌다”고 기류를 분석했다.

현재 첨수2부에서는 김 부장검사 외에 평검사 3명, 수사관 8명, IT전문 수사관 26명 등 38명이 근무한다. 산하에는 인터넷범죄수사센터가 있다. 그동안 해결한 대표적인 사건 중 가장 최근 사례는 지난해 7월 기소한 ‘저작권법 위반 웹하드업체’ 사건. 4000만여명이 가입한 8개 웹하드업체가 기소 대상이었다. 지난해 4월 적발된 ‘농협전산망 마비’ 사건도 첨수2부의 작품이다.

ADVERTISEMENT

대검찰청에도 사이버범죄팀이 있다. 대검의 사이버범죄수사단은 지난해 11월 검·경 사이버범죄 수사를 총괄하는 ‘컨트롤타워’ 역할을 자임하며 출범했다.

정수봉 사이버범죄수사단장을 비롯해 평검사 1명, IT전문 수사관 20여명이 근무 중이다. 지난 1일에는 한국인터넷진흥원 해킹대응팀 출신 IT전문가 4명을 검찰수사관으로 특별채용했다. 사이버범죄에 대응하는 관련 정부기관과 공조에 힘쓰고 있는데 지난달 19일 법무·행정안전·국방부, 방송통신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금융위원회 등과 함께 ‘사이버범죄 유관기관협의회’도 발족시켰다.

검찰은 국내 유관기관뿐 아니라 국가 간 공조도 강화할 계획이다. 정 단장은 “해킹 공격의 근원지로 중국이 자주 지목된다”며 “사이버 범죄가 발생했을 때 중국과 협조가 원만히 이뤄질 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ADVERTISEMENT

국가정보원도 국가사이버안전센터를 운영, 국가 기관망을 보호하고 있다. 국정원의 국가사이버안전센터는 국내 여러 국가기관에 대해 시도되는 1일 평균 100만여건 이상의 사이버공격 시도를 분석해 대응한다. 보안전문가들이 24시간 감시체제를 구축했다.

국가기관이 사이버공격을 당하면 국정원은 위험도에 따라 4단계의 공식 경보를 발령한다. ‘관심→주의→경계→심각’ 순으로 위험도가 높아진다. 수사할 수 있는 영역이 공안사범으로 한정되기 때문에 중대한 사이버범죄가 일어나면 검찰, 경찰, 국방부 등 관계기관들과 공조작업을 벌인다.

심성미 기자 smsh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