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권·프린터·인터넷전화…'공짜 세상' 살아남는 비책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경영학카페
버티면서 '맞불 전략' 모색
스카이프, 개인에겐 무료 통화…기업·프리미엄 서비스는 유료
공짜 항공권으로 고객 모으고 숙박·식사·기념품으로 수익
버티면서 '맞불 전략' 모색
스카이프, 개인에겐 무료 통화…기업·프리미엄 서비스는 유료
공짜 항공권으로 고객 모으고 숙박·식사·기념품으로 수익
첫 번째는 버티기 전략이다. 공짜 상품을 주는 기업은 반드시 자본이 바닥나기 전 안정적인 수입원을 창출해야 한다. 반대로 기존 업체는 공짜 업체가 얼마나 버틸 수 있을지 예상하고 지켜보는 신중함을 가지면 된다. 영국 브리검영대의 브라이스와 다이어, 햇치 교수는 공짜 상품의 성장세가 연간 40% 이상이고 기존 업체의 고객 이탈률이 5%를 넘기 전까지는 큰 문제가 아니라고 말한다. 자본이 부족한 공짜 업체들이 충분한 성장세를 타지 못하면 그들은 결국 게임을 포기하게 된다. 공짜 메일과 커뮤니티 서비스를 표방하고 나섰던 인터넷 업체 중 상당수가 제대로 수익모델을 개발하지 못해 문을 닫았던 것을 기억하면 쉽게 이해가 된다.
ADVERTISEMENT
일단 공짜 상품이 인기를 얻어 유료 고객들의 이탈이 본격화되면 대안은 하나 밖에 없다. 더 좋은 상품을 공짜로 제공하면서 새로운 수입원을 찾는 ‘맞불 전략’을 펴는 것이다. 공짜 경쟁에서 기존 업체는 신생 업체보다 훨씬 유리하다. 이미 확고한 브랜드, 두터운 고객층, 검증된 상품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중요한 것은 맞불 전략을 구사할 때 새롭게 돈을 버는 방식을 개발해야 한다는 점이다.
맞불 전략으로 돈을 버는 방식은 네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스카이프처럼 개인에게는 공짜 서비스를 주지만 기업용 버전이나 단체 전화 등이 가능한 프리미엄 버전에는 비용을 청구하는 ‘프리미엄 유료 판매(up-sell)’ 방식이다. 대부분의 애플리케이션(앱·응용프로그램)이 이 방식을 취하고 있다. 라이트 버전의 앱에서는 주요 기능만 가능하고, 추가 기능을 원하는 사람은 유료 상품을 사야 한다.
ADVERTISEMENT
셋째, 공짜로 모은 고객정보를 탐내는 제3자에게 돈을 받는 ‘3자 판매(charge third parties) 방식’이다. 지하철 무료 신문이 가능한 이유는 광고주가 돈을 내기 때문이다. 공짜 상품으로 고객정보를 모을 수만 있다면 많은 기업들이 기꺼이 돈을 내고 광고를 내거나 고객정보를 사려고 들 것이다. 최근 북미지역에서는 휴대전화 요금이 공짜인 서비스까지 등장했다. 매월 200분의 무료 통화를 하기 전 사용자는 간단한 광고메시지를 들어야 하는데, 사용자도 광고주도 줄을 서서 기다리는 형편이라고 한다.
넷째, 공짜 상품에 유료 상품을 ‘끼워 파는(bundle-sell) 방식’이다. 공짜 프린터를 주고 토너를 사게 한다거나, 면도기를 나눠주고 면도날을 사게 하는 방식, 캡슐 커피 세트를 사면 커피 머신을 공짜로 끼워주는 방식이다.
ADVERTISEMENT
김용성 세계경영연구원(IGM) 교수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