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대 10명 중 4명이 삼포세대인 것으로 조사됐다.

삼포세대는 등록금 대출과 장기간의 취업 준비, 불안정한 일자리, 치솟는 집값 등으로 연애, 결혼, 출산을 포기하는 세대를 일컫는 말이다.

ADVERTISEMENT

취업포털 사람인은 20~30대 성인남녀 2192명을 대상으로 '경제적인 이유 때문에 연애, 결혼, 출산 중 포기한 것이 있습니까?'라는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42.3%가 이중 하나를 포기했다고 1일 밝혔다.

삼포세대는 응답자별로 구직자가 61.4%로 가장 많았다. 이어 대학(원)생(47.5%), 직장인(45.9%) 순이었다.

직장인 중 현재 대기업에 다니고 있으면서도 본인이 삼포세대에 속한다고 답한 비율은 33.3%에 달했다.

ADVERTISEMENT

이들이 포기한 것으로는 결혼이 51.5%로 첫손에 꼽혔다. 연애(49.1%)와 출산(39.6%)이 그 뒤를 이었다.

삼포세대가 된 이유는 '모아놓은 돈이 없어서' 53.5%로 1위를 차지했다.

△웬만큼 돈을 모아도 힘들어서(42.1%) △집안에 가진 돈이 적어서(36.4%) △취업이 늦어져서(33.1%) △연봉이 너무 적어서(32.1%) △현재 빚이 많아서(16.8%) 등의 답변도 있었다.

ADVERTISEMENT

연애, 결혼, 출산을 포기한 시기로는 '직장을 다닌 시점'(33.7%)이 가장 많았다.

이어 △취업 준비 시점(28.1%) △결혼 준비 및 이후 시점(20.3%) △대학 재학 시점(12%) △학창시절 및 그 이전(6%) 순이었다.

포기한 것을 되돌리기 위해 필요한 최소 금액을 묻는 질문에는 1억원 이상이 32.6%로 가장 높았다. 다음으로 △3000만~4000만원(9.7%) △5000만~6000만원(8.5%) △4000만~5000만원(8.4%) 등의 뒤를 이었다.

ADVERTISEMENT

평균 6042만원이 필요한 셈이다.

한편 응답자의 44.7%는 현재 빚을 지고 있으며, 그 비용은 평균 3128만원으로 나타났다.

임민욱 사람인 팀장은 "20~30대는 한창 사회생활에 흥미를 느끼고 커리어를 쌓아가야 하는 시기이지만 요즘은 '삼포세대', '청년실신'이라는 말로 대변될 만큼 불안정한 미래로 인해 어려움을 느끼는 사람들이 많다"고 말했다.

한경닷컴 강지연 기자 alic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