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 이란 간의 긴장이 1년 이상 지속되면 국내 경제성장률이 곤두박질치고 물가도 치솟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습니다. 현대경제연구원은 11일 "석유 수출 금지로 이란의 경제상황이 나빠지면 전쟁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면서 "6개월 이내의 단기전이면 국제유가는 평균 160달러 내외가 될 것이며, 국내 성장률은 3.3%로 하락하고 물가 상승률은 5.5%로 오를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문제는 호르무즈해협을 통한 원유수송 중단사태가 장기화할 때입니다. 1년이상 장기전이 되면 1, 2차 오일쇼크와 비슷한 양상이 전개될 것으로 보입니다. 보고서는 "국제유가가 210달러까지 폭등하면서 국내 성장률은 2.8%로 떨어지고 물가는 7.1%로 치솟을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또 "이란사태에 대비하려면 물가안정이 중요하다"면서 "공공서비스 요금 인상을 줄이고 적절한 임금인상을 통해 인플레이션 기대심리를 줄여야 한다"고 제안했습니다. 또 선물시장으로 석유비축량을 늘리고 중동 이외에도 에너지 수급로를 개발해야 한다고 덧붙였습니다. 한국경제TV 핫뉴스 ㆍ中 성매매 여성 알고보니 모조리 남자 ㆍ생방송 중 축구공이 해설男 머리를 가격 `일부러?` ㆍ러시아 얼음 마을 `모르츠 시티` 개장 ㆍ박지성 열애설 오지선, 김태희 절친 ㆍ김범 `王자 복근` 비하인드 컷 대공개!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