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까지 합당 결의 완료

민주당과 시민통합당, 한국노총이 13일 야권 통합의 막판 고지 등정에 발걸음을 함께 내디뎠다.

양당과 한국노총은 이날 오후 국회에서 범야권 합당 결의를 위한 수임기관 합동회의를 열어 통합협상을 본격화했다.

민주당이 지난 11일 임시 전국대의원대회에서 극심한 진통 끝에 통합의 길을 선택한 이후 열린 첫 공식 대좌다.

이날 회의에서는 늦어도 18일 오전까지 통합정당의 당명ㆍ강령과 당헌 등을 결정해 수임기관 합동회의에서 합당을 공식 결의하기로 합의됐다.

또 실무 협상을 효과적으로 진행하기 위해 등록 업무와 총무 등을 맡는 총괄반과 지도부 선출 등 당헌의 주요 내용을 결정하는 당헌반, 강령과 정책 등을 결정하는 강령반 등 3개 분과를 편성해 운영하기로 했다.

각 분과는 이날부터 실무 작업에 들어가 14일까지 마치는 등 속도를 낼 계획이다.

약칭이 '민주당'으로 정해진 당명도 각 당이 14일까지 시민 공모를 진행한 뒤 합동회의를 통해 결정하기로 했다.

회의에는 통합 반대파인 박양수 전 의원과 이현주 지역위원장이 참석해 통합 결의일을 정한 것 등에 대해 반대 의견을 개진하기도 했다.

양당은 지난 7일 최대 쟁점인 경선 룰과 지도부 구성 등에 대한 잠정 합의를 이룬 상태다.

지도부 선출을 위한 선거인단은 `대의원 30%, 당원ㆍ시민 70%'로 구성되며, 예비경선(컷오프)과 1인 2표제가 도입된다.

대의원 선거인단은 양당 대의원을 동수로 꾸리고, 민주당의 당비당원 12만명은 별도의 선거인단 신청 절차를 거치지 않더라도 자동으로 선거인단으로 인정된다.

특히 시민 누구나 모바일과 현장투표를 통해 지도부 선출에 참여할 수 있도록 했다.

또 19대 총선 지역구 후보자 공천은 완전 개방형 시민경선을 원칙으로 한다는 데 합의했다.

민주당 최인기 통합수임기관 위원장은 "이제 더 뒤돌아볼 시간적 여유가 없다"면서 "더 큰 민주당 건설, 더 큰 국민의 승리를 위해 최선을 다해 실무작업을 빠르게 진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강영두 이광빈 기자 k0279@yna.co.kr lkbin@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