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로 읽는 경제] 북한 경제성장률 믿거나 말거나?
'북한 경제성장률 -0.5%,2년 연속 마이너스 성장.'

한국은행이 지난 3일 발표한 지난해 북한 경제성장률 추정치다. 며칠 뒤 북한은 조선중앙통신 논평을 통해 '무엇을 노린 경제 쇠퇴설인가'라며 맹비난을 퍼부었다. 정부 관계자는 "내년까지 강성대국을 열겠다며 경제 성장을 독려해온 북한으로서는 한은 발표가 불쾌했을 것"이라고 해석했다.

북한은 경제 활동과 관련한 기초자료를 대외에 거의 공개하지 않는다. 제조업이나 광업 생산 같은 산업활동 지표는 물론 개별 제품의 가격도 베일에 가려져 있다. 유엔 같은 국제기구가 식량 원조의 전제조건으로 경제 규모나 인구통계 자료를 요청해도 들은 척만 한다.

한은은 궁여지책으로 정부와 관계기관들이 다양한 루트로 수집한 자료를 넘겨받아 1991년부터 북한 경제성장률을 추정하고 있다. 자료는 석탄 생산량,기계 생산량,발전량 등 수십 가지에 불과한 데다 그나마 대부분 추정 자료다. 국민총소득(GNI) 추정에 필요한 가격 자료는 아예 입수가 안 될 때가 많아 비슷한 국내 제품의 가격과 부가가치율을 똑같이 적용한다.

북한은 자본주의 국가와 달리 '사회주의 통계법'을 고수하고 있어 남북한 경제를 단순비교하기는 어렵다. 단적인 예로 북한은 국내총생산(GDP) 대신 사회총생산(Gross Social Product)이라는 개념을 쓴다. 두 방식은 접근법이 180도 다르다. GDP 기준으로 부가가치를 계산할 때는 생산에서 임금 등 각종 비용이 제외되지만 북한에선 포함된다.

국민총소득 산출 방식도 다르다.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유엔의 국민소득계정체계(SNA) 대신 북한은 옛 사회주의 국가들이 쓰던 사회주의체계(Material Product System)를 쓴다. 정확한 비교가 힘들기 때문에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한은 추정치를 놓고 북한 경제가 '과대 평가됐다'는 주장과 '과소 평가됐다'는 주장이 엇갈리기도 한다.

그럼에도 한은 추정치는 북한 경제를 파악하는데 국내외에서 광범위하게 쓰인다. 한은 관계자는 "북한 성장률 추정치는 유엔에서도 인용할 때가 많다"며 "서울 주재 외국 대사관도 한은 자료를 정기적으로 수집한다"고 말했다.

주용석 기자 hohobo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