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과 후 서울의 한 학원가에는 초소형 특수카메라를 옷 속에 숨긴 사람들이 나타난다. 이른바 '학파라치'로 불리우는 사람들이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7일(현지시간) 한국의 사교육 열풍을 보도하며 '학파라치'를 소개했다.

'학원'과 '파파라치'의 합성어인 '학파라치'는 교육과학기술부가 수강료 초과 징수 등 학원가의 불법을 막기 위해 2009년 7월 도입한 불법학원 신고포상금 제도.

WSJ는 "한국 학부모들은 자녀들이 명문대를 나와 정부나 대기업에서 일하는 것을 성공으로 여긴다" 면서 "이를 위해 어릴 때 부터 공부를 많이 시킨다. 지난 10년 동안 학원 산업이 빠르게 성장한 것도 이런 배경에서 비롯됐다"고 분석했다.

또 정부 추산 자료를 근거로 한국에는 9만5000개의 학원과 과외 등을 하는 8만4000명의 개인교사가 있는데 이들은 세금도 제대로 내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학부모들은 자녀 한 명 당 한달에 1000달러(110만원) 가량을 학원비로 지출하며 아이들은 밤 늦게까지 학원에서 공부를 한다고 이신문은 전했다.

사교육비의 양극화에 따른 빈부격차 심화 문제도 제기됐다.

WSJ는 "한국 사회는 정형화된 시험에서 높은 점수를 받는 것을 자랑스럽게 생각한다. 정부도 1960년 이후 국가 발전을 위해 교육을 장려해왔다" 며 "사람들은 교육이 신분 상승을 위한 유일한 수단이라고 생각한다. 잘 사는 가정의 아이들은 비싼 돈을 들인 사교육을 받지만 빈부 격차도 여실히 드러나게 됐다"고 전했다.

이어 "지나친 사교육은 가정 형편이 어려워 이를 받지 못하는 아이들을 뒤처지게 한다는 이유로 정부나 일부 사회단체로부터 반발을 사고 있다" 면서 "한국의 출산율이 선진국 가운데 최하위(1인당 1.1명)를 기록하는 것도 사교육 부담 때문이라는 주장도 나온다"고 소개했다.

특히 2008년부터는 각 지방자치단체가 학원의 심야교습 규제를 시행하고 있어 학원과 정부 사이의 '쫓고 쫓기는 게임'이 시작됐다고 WSJ는 전했다. 한 학원장은 "일부 학부모들이 심야 수업을 요구하기도 하지만 어쩔 수 없는 상황"이라고 토로하기도 했다.

이런 상황에서 '학파라치 양성학원'들도 등장했고 학원들은 이들을 피해 소형 아파트를 빌려 학원 수업을 진행하기도 한다고 설명했다. WSJ는 학파라치를 피해 학원 수업을 더 받기 위해 소형 아파트를 빌려 학원 수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커피숍 등에서도 심야 교습이 이뤄진다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김승현 사교육걱정없는세상 정책실장은 "학생들에게 필요한 건 학원에서 공부하는 시간보다 충분한 수면과 휴식"이라고 꼬집었다.

한경닷컴 부수정 기자 oasi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