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는 주머니 속의 이십원을 꺼내 놓고 허투루 쓰지 않겠다고 다짐한다. 혁명적으로 살아야 한다. 계산적으로 살아야 한다. 대한서점에 가서 점찍어 둔 책이나 살까. K는 싸게 사는 방법을 알고 있다. 몰래 책의 몇 페이지를 뜯어 싼값에 산 뒤 집에서 테이프로 붙여 보는 것이다. '

'무진기행'으로 유명한 작가 김승옥의 단편 '싸게 사들이기'(1964) 중 일부분이다. 빠듯한 형편에 헌책 한 권 사기도 버거웠던 1960년대의 풍경이다.

소설 속 대학생뿐이랴.1970년대는 물론 1980년대까지 중고생과 성인 할 것 없이 헌책방을 찾았다. 새책을 살 돈이 없어서인 경우가 대부분이었지만 개중엔 부모에게 받은 새책 값을 술값으로 날리고 헌책을 사려는 대학생도 있고,절판된 옛책을 구하기 위해 들르는 사람도 있었다.

서울의 경우 1970년대 초 지하철 건설과 함께 동대문에서 청계천으로 옮겨간 헌책방엔 없는 책이 없었다. 참고서와 교재,사전,문학전집과 철학 · 법학 · 공학 책부터 철 지난 잡지까지.헌책의 모습은 가지가지다. 누군가 정성껏 밑줄을 쳐놓은 것도 있고,앞쪽만 읽다 말아 중간 이후는 말끔한 것도 있고,아예 새책이나 다름없이 깨끗한 것도 있다.

헌책은커녕 새책도 안 팔린다는 가운데,영국의 헌책 마을 '헤이온와이' 창시자 리처드 부스가 '파주북소리 2011'(10월1~9일) 행사에서 했다는 말은 인상적이다. "헌책은 대학도서관과 공공도서관을 능가하는 방대한 양의 지식을 제공한다. 국가별 번역서로 되살아나는 헌책 속엔 오랜 기간 쌓인 지혜가 담겨 있다. 헌책방은 지적 관광자원이다. "

책은 영화와 마찬가지로 킬러콘텐츠다. 50만부 이상 팔리는 베스트셀러 뒤엔 1000부도 소화되지 않은 채 절판되는 책이 수두룩하다. 그러나 좋은 책과 팔리는 책은 다르다. 베스트셀러를 샀다 황당하고 허망해 가슴을 치는 일이 적지 않다. 반대로 헌책을 읽다 횡재하는 수도 있다. 내용도 내용이요,낡은 듯 진지한 번역이 어설프고 매끄러운 의역보다 가슴에 더 잘 와닿는 까닭이다.

재활용(re-cycling)보다 재사용(re-using)이 중요하다는 마당이다. 오늘의 새책은 내일의 헌책이다. 겉만 번지르르한 베스트셀러 신간을 좇기보다 헌 책일지언정 검증된 고전을 구해보는 건 어떨까. 손때 묻은 책을 지니는 기쁨도 누릴 수 있을 테니.

박성희 수석논설위원 psh77@hankyu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