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이 한 · 미 FTA의 재재협상을 당론으로 주장하고 있는 가운데 민주당 내에서 당의 방침에 반대하는 목소리가 하나둘 터져 나오고 있다. 송영길 인천시장은 "이제 와서 독소조항을 들어 한 · 미 FTA에 반대하는 것은 차라리 하지 말자는 변명에 불과하다"고 비판하고 "한 · 미 FTA를 주도한 참여정부 인사 상당수가 포진한 민주당으로서 이런 태도는 솔직하지 못한 것"이라고 밝혔다. 안희정 충남도지사 역시 한 · 미 FTA에 반대하는 민주당의 논리가 잘못됐다고 지적하고 나섰다. 그는 "노무현 정부의 협상은 잘됐지만 현 정부의 재협상으로 한 · 미 FTA가 나빠졌으니 비준에 반대한다는 것은 논리적 모순"이라고 꼬집었다는 것이다.

사실 이들의 발언은 지극히 당연한 것이다. 한 · 미 FTA는 참여정부 시절 체결된 것이고 당시 여당인 열린우리당 소속 국회의원이던 이들이 FTA에 일관성 있는 지지 입장을 견지하는 것은 정치인으로선 기본적인 도리다. 그런데도 송 시장과 안 지사의 발언이 특별한 주목을 받는 것이 지금 우리 정치의 현실이다. 참여정부에서 장관을 지내거나 열린우리당 의원을 지낸 인사 중 상당수가 지금은 야당이 됐다는 이유로 한 · 미 FTA에 반대하고 있다. 하지만 이는 스스로의 정체성을 부정하는 것이요, 반대를 위한 반대라는 비판을 면키 어렵다.

민주당은 현 정부가 진행한 추가협상으로 자동차 부문에서 이익 균형이 크게 깨졌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FTA 체결에 따른 자동차의 연간 대미 무역흑자는 4억8800만달러로 예상된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일치된 분석이다. 자동차업계가 조속한 비준을 요구하고 있는 것도 바로 이런 이유에서다. "아무리 반대하더라도 최소한의 논리는 있어야 하지 않느냐"는 김종훈 통상교섭본부장의 발언도 같은 맥락이다. 중국 일본 등 주변국은 미국 EU와 잇따라 FTA를 체결한 한국을 질시의 눈으로 보고 있다. 한 · 미 FTA 비준을 지연시키거나 무산시키는 것은 결국 한국의 선제골을 스스로 무효화하는 것과 다를 바 없다. FTA에 반대하는 정치인들의 이름을 특정한 공공장소에 크게 새겨놔야 하는 건 아닌지 모르겠다.